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문계 고등학교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168

영문명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a College-Preparatory High School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조대훈(Jho, Daehoon)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76집, 53~7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 인문계 고등학교인 무한고에서 자생적으로 형성된 지역사회 자율봉사활동에 기초한 시민교육 프로그램, ‘따봉(따뜻한 봉사활동)’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이다. 연구자는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시민교육은 가능한가?”라는 근본 질문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따봉 프로그램의 성장과 변화 양상에 주목하고, 더 나아가 학교 안에서 능동적이고 참여 지향적이며 성찰적인 시민교육의 가능성의 요건과 한계를 분석하고자 했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무한고등학교의 시민교육 프로그램 ‘따봉’의 사례를 통해, 강력한 입시 위주의 교육 풍토 속에서도 시민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으며, 지속가능성의 요인으로 체험적-실천적 학습 경험의 제공, 헌신적인 1인 교사의 힘, 지역사회 자원과 인적 네트워크의 활용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한고 따봉 프로그램의 성장 과정을 단계별로 구분하는 과정에서, 지속가능성을 저해하는 새로운 도전적 과제들--1인 교사에 대한 지나친 의존과 동료 시민교육 리더 교사의 부재, 시민교육프로그램의 확산에 따른 시민교육 본질의 약화, 그리고 시민교육에 대한 도구적 접근을 둘러싼 갈등--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민교육 전문 리더 교사 발굴을 위한 교사교육 강화, 지역사회 기반 시민교육 지원 정책, 그리고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학교 시민교육 성장 과정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analyze the implemenetation process and consequent outcomes of Tabong, a community-based,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Muhan High School, a college preparatory school in the Republic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five-year period (2015~2019) mainly by partial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abong,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nswer the question, “Is citizenship education possible in Korea’s college preparatory high school?” an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Korea’s high schools. In sum, this study maintained that citizenship education in Muhan High School was successful in producing the moments of authentic citizenship education mainly due to several pos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providing participant students experiential and active learning experiences, the power of one devoted lead teacher, and utilizing the community-based program based on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network. Analyzed by the long-term perspective, however, Muhan’s Tabong were found confronting new challeges that might hinder its sustainbility: extreme dependence on one lead teacher lacking his colleague teachers’ meaningful support, the weakening of the core of citizenship educatio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rogram, and a new dilemma emerging from the strong tendency of the instrumental approach toward Tabong program among students and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the initiative on the reinforcement of the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importance of the community-based approach, and the need for the long-term monitoring and research project on the trajectory of the develop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in high schools.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
Ⅳ. 따봉 시민교육 프로그램의 성과
Ⅴ. 논의: 학교 시민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전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대훈(Jho, Daehoon). (2019).인문계 고등학교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연구, 76 , 53-72

MLA

조대훈(Jho, Daehoon). "인문계 고등학교 시민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연구, 76.(2019): 53-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