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peech production of English Fricatives by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its pedagogical implication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임영신(Lim, YoungShi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76집, 73~9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어린이 학습자가 영어 마찰음을 발음하는데 모국어의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습득이론의 관점에 기반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30명의 5학년 초등 학습자들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8개의 영어마찰음이 포함된 30개의 자유문장을 발화하는 실험에서 각 음소의 발화 정확도를 측정하였으며 오류가 많이 나타난 음소에 대한 원어민의 발화와 어린이 학습자의 발화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어린이 학습자가 발화한 영어 마찰음 중 /v/, /θ/, /ð/음소에서 발화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어린이 학습자들은 유성 순치마찰음인 /v/를 무성 양순파열음인 K[ㅂ]로 발화하였고, 유성 치간마찰음인 /ð/도 무성치경파열음인 K[ㄷ]로 발음하였다. 무성 치간마찰음인 /θ/인 경우는 무성 치경마찰음인 K[ㅅ]로 발음하거나 치경파열음인 [th](K[ㅌ])로 발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음소에 대한 어린이 학습자들의 잘못된 발화현상은 한국 음소체계에 유성마찰음과 비치찰음의 소리가 부재한 이유로 설명할 수 있다. 즉, 습득이론의 관점에서 볼 때, L2소리를 발화할 때 나타나는 L1의 간섭현상은 L1의 변별적 자질체계에서 습득하고자 하는 L2음소의 자질여부로 설명하는 것보다 L1과 L2음소 자체를 대조하여 설명하는 것이 더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설명적 근거는 한국어 음운체계에서 마찰음과 파열음을 구별하는데 필요한 [continuant]자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인 실험대상자가 마찰음을 파열음으로 발음을 잘못하는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데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분석에 기반하여 어린이 학습자들이 발음하기 어려워하는 마찰음을 효과적으로 습득하기 위한 교육적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English fricatives produced by Korean young learners based on two acquisition models to find which factors of learners first language (L1) influence on L2 acquisition. Thirty students of fif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empirical experiment. Thirty sentences with eight English fricatives were employed in the production task to investigate the accuracy of production and the different patterns of a native speaker and Korean young learners were analyzed with the phonemes of most err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mong English fricatives, participants showed poor performance on the production of /v/, /θ/, and /ð/. Specifically, in many cases, they produced a voiced labio-dental fricative /v/ as a voiceless labial plosive Korean [ㅂ]. Likewise, a voiced dental fricative /ð/ was pronounced as a voiceless alveolar plosive Korean [ㄷ]. In the case of a voiceless dental fricative /θ/, they were likely to pronounce it as a voiceless alveolar fricative [s] (Korean [ㅅ]) or an aspirated alveolar plosive [th](Korean[ㅌ]). young learners’ poor performance on the production of these sound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voiced fricatives and non-sibilant sounds are missing in the Korean sound inventory. This interference effect of L1 on the production of L2 sounds is more successfully explained when the sounds themselves are compared between L1 and L2 than when the existence and absence of the relevant L2 features are considered in the L1 distinctive feature system. This is because Korean participants made a lot of mistakes in their speech by mispronouncing fricatives as plosives even though the [continuant] feature that is required to distinguish fricatives from plosives is also present in the Korean phonological system. Som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are suggested based on the difficult fricatives for young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음성 발화 실험
Ⅳ. 논의
Ⅴ. 결론 및 교육적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