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on Grammar Knowledg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 발행기관
-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애화(Kim, Ae-hwa) 박선희(Park, Sun-Hee)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76집, 9~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시적 국어문법 교수가 중학교 읽기부진학생의 문법 지식 및 읽기유창성,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읽기부진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명시적 국어문법 교수가 문법 지식에 미치는 중재 효과 및 유지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 대한 일반화 효과를 살펴보았다. 중재 후 모든 연구 참여 학생의 문법 지식 점수가 기초선과 비교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국어문법 교수가 읽기에 어려움을 보이는 중학교 읽기부진학생의 읽기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임을 검증하는 것이며, 따라서 명시적 국어 문법 교수가 읽기 향상을 위한 유용한 교수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Research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licit Korean grammar instruction on grammar knowledge,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Research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in 1st-3rd gra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 on grammar knowledge and the generalization effect of intervention 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examined as well. Research results: All three participants grammar knowledge scores increased upon the implementation of the intervention. Furthermore, positive generalization effect on reading fluency and reading comprehension was observed.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explicit Korean grammar instruction are effective instruction in improving read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and suggest that it can be used as a useful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