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딥러닝기반 다중 표적 인식을 활용한 모바일 로봇 경로 계획
이용수 138
- 영문명
- Moblie Robot Path Planning using Deep Learning-based Multi target Detection
- 발행기관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저자명
- 이선호(Lee, Sun Ho) 권영진(Kwon, Young Jin)
- 간행물 정보
- 『사회융합연구』제3권 제4호, 139~14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복합적인 고차원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미래무인화 전투 체게는 인공지능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히 합성곱 신경망은 영상뿐만 아니라 자연어 처리까지 광범위한 범위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이고 있어 무인화 전투체계의 표적정보인식, 피아식별, 전장정보인식 등 각종 센서 융합에 매우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합성곱 신경망의 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다수 대상체의 상태정보를 인식함으로써 변화되는 환경에서의 무인로봇 경로 계획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추정된 로봇의 위치, 장애물, 목표물 정보로부터 로봇의 경로 계획의 유효성을 검증 하였다.
영문 초록
Unmmanned systems are one of the essential areas of future military weapons systems that must carry out dangerous and cmplex missions. Especially, deep learning should recognize many landmarks through the image and project them onto the map to improve the problem of position estimation, because it shows excellent performance of recognizing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data among othe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 this study, the path planning of the unmanned reconnaissance aircraft and the unmanned ground vehicle, which are currently being used in the ROK military, is linked with the CNN based multi target recognition algorithm without GPS. Throuth experiments, w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ath planning of the mobile robot with respect to the position of the robot, obstacle, and target point estimated by the target detection algorithm.
목차
1. 서론
2. 객체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
3. 모바일로봇 시스템
4. 연구결과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찰정책집행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성범죄예방정책에 대한 행위자 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자치입법권 분석과 정책과제
- 고령운전자의 교통위험에 대한 위험회피정책에 관한 연구
- 섬 지역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실증적 연구
-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압박·관여 전략과 한국의 대응방향
- 어린이집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조직복합성의 생성형태와 유형화에 관한 연구
- 딥러닝기반 다중 표적 인식을 활용한 모바일 로봇 경로 계획
- 여대생의 피임지식, 인공임신중절 인식과 성 행태 조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