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Early Adopter Tendency on the Intention to Adopt Electric Vehicles: Application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문선정(Moon, Sun-Jung)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4卷 第4號, 195~22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혁신제품의 초기 도입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진 조기수용자 성향이 전기차에 대한 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성장동력으로 인식되는 전기차 시장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이론적인 틀로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였다. 조기수용자 성향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계획행동이론에서 의도의 세 결정요인(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통제)의 선행변수로 조기수용자 성향을 포함하여 모형을 확장하였다.
그리고 자기-고양성이 계획행동이론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낸다는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기차 구매 욕구와 연관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자기-고양성 가치관의 조절효과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IBM SPSS 22와 SmartPLS 3.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행동이론은 전기차 수용의도를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임을 입증하였다. 또한, 조기수용자의 성향 중 혁신성 만이 전기차 수용의도의 선행변수들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고양성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전기차 수요를 확산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early adopter tendencies, which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arly stage of innovate product market, on the attitudes and acceptance of electric vehicle(EV) and thereby, to provide some insights for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of EV known to be a future growth engin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mpact of early adopter tendencies on the intention to adopt EV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In addition, moderating effect of self-enhancement on the relation between intention
and its 3 determinants(attitude, social norms, and behavioral control) of TPB was examin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BM SPSS 22 and SmartPLS 3.0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PB is a suitable model for predicting the adoption of EV. Among the early adopter tendencies, innovativenes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terminants EV adoption, and self-enhancement didn’t show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ntion and its determin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EV producing companies to boost the demand for EV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회계정보의 보수주의와 주가지체현상에 관한 연구
- DEA-AR 및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연구기관의 기술이전 효율성 분석
- ETF 시장에서 유동성공급자는 정보 우위에 있는가?
-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양면성 역량이 기업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혁신지향적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조기수용자 성향이 전기차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금융위기가 배당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투명성이 웹 사이트 가치평가와 추가정보조회 및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지된 위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기계학습 기반 군집분석을 통한 지역 창업생태계 구조분석: 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사례연구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청년자영업자의 성과에 관한 연구
- 기업 연구개발직원의 인식하는 조직문화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및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