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ETF 시장에서 유동성공급자는 정보 우위에 있는가?

이용수  100

영문명
Do Liquidity Providers Have an Information Advantage? : An Evidence from the Korean ETF Market
발행기관
한국산업경영학회
저자명
박수철(Park, Soo-Cheol) 우민철(Woo, Min-Cheol)
간행물 정보
『경영연구』 第34卷 第4號,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ETF 시장은 개설 때부터 내재적 가치(intrinsic value)를 근거로 매수/매도호가를 제시하고, 유동성이 부족한 거래, 즉 거래 상대방을 찾지 못하는 투자자들과 거래하여 시장 안정화와 효율적 가격형성에 기여하는 유동성공급자(Liquidity Provider, 이하 LP)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본연구는 만약 LP들이 내재적 가치에 대한 정보우위에 있다면 자신들에게 유리한 호가 제출로 초과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KOSPI200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를 대상으로 Choe et al.(2005)의 Price ratio와 최혁, & 우민철(2013)의 Profit ratio를 사용하여 LP의 정보우위 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의하면 첫째, Price ratio를 투자자별로 비교하면 시장참가자들의 거래 상대방이 되어 유동성을 공급하는 LP가 다른 투자자들에 비해 정보우위에 있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둘째, Profit ratio를 비교하면 LP는 외국인, 기관, 개인투자자 모두와의 거래에서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OSPI200지수, 인버스지수, 레버리지지수 ETF에서 LP는 정보열위에 있었으며, KOSPI200 총수익지수 ETF에서만 정보우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한국 ETF 시장의 LP는 정보우위 거래보다는 도입 취지에 부합하는 시장의 유동성 공급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LP의 제도적인 특혜 우려에 대하여 LP는 도입 취지에 부합하는 유동성 공급의 순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는 결과를 제시하여, LP 제도의 도입이나 확장에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system of Liquidity Providers have worked since the Korean ETF market opened. It is supposed to provide the liquidity on the market and submit the bid and ask order of ETFs in charge, based on the reference price. This study is motivated from the possibility that if Liquidity Providers have an information advantage, they could earn excess returns.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Liquidity Providers have an information advantage over other investors. To analyze the LP’s information advantage, this study makes use of two measures, the price ratio on the Choe et al.(2005) and the profit ratio on the Choe, & Woo.(2013). Ou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ice ratio, there is not an information advantage of the LP which makes markets liquid by being counterparts on the buyer(seller) who do not find seller(buyer). Second, neither is there an information advantage of the LP in terms of profit ratio. Third, there are not an information advantages of the LP on any ETFs related with KOSPI200 index except KOSPI 200 total return index. According these results, it is estimated that Liquidity Providers have no information advantages over other investors on the Korean ETF marke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LP on the Korean ETF market carry out its required role well and the LP system could fit in the mechanism that should provide somewhere with the liquidit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자료와 방법론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철(Park, Soo-Cheol),우민철(Woo, Min-Cheol). (2019).ETF 시장에서 유동성공급자는 정보 우위에 있는가?. 경영연구, 34 (4), 1-28

MLA

박수철(Park, Soo-Cheol),우민철(Woo, Min-Cheol). "ETF 시장에서 유동성공급자는 정보 우위에 있는가?." 경영연구, 34.4(2019):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