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살태도와 도움관련 의도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이용수 312
- 영문명
-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s Suicide on the Help-related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지(Young Ji Lee) 육성필(Sung Pil Yoo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1호, 1005~10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1.15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지니고 있는 자살에 대한 태도와 도움관련 의도, 즉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도움을 제공하는 의도와의 관련성을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을 자살태도의 하위요인에 따라 잠재적 계층으
로 분류하였고 각 잠재계층별로 도움관련 의도와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잠재 계층에 따른 도움관련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욕구로 설정하여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5년 3월 초부터 4월 말까
지 우리나라의 전국 만 19세에서 64세 사이의 성인 372명을 대상으로 자살에 대한태도, 도움요청 및 도움제공의 경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 대인관계 욕구 등을 측정하였고 응답 자료들은 SPSS 19.0과 Mplus 6.0을 활용하여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
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살태도의 하위요인에 따라 4개의 잠재계층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2 계층인 ‘높은 금기 계층’이 다른 잠재계층에 비해 도움 요청과 도움 제공 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 계층인 ‘허용가능 계층’은 도움요청과 도움제공 의도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잠재계층 분류에 있어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대인관계 욕구의 영향력 차이가 분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자살을 예방하는데 있어서
기여하는 학문적, 임상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present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s suicide and help-related behavior among Korean adults. It was also identified the number of latent classes among participants based on seven sub factors of attitudes towards suicide. A total of 372 Korean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results, first,
the participates were classified by four latent classes. Second, each latent classes show different help-related behavior. The second class, titled as ‘high- taboo class’ was those who reported the highest help-seeking and help-providing behavior attitudes. Finally, the significant predictors characterizing ‘high-taboo class’ are individual’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interpersonal needs.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targeted for suicide preven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Limitation, implication,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교과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간호학과 전공심화과정 보건의료와 간호정책 교과목에서 팀기반 학습의 효과
- 협동적 문맥활용 어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학생 중심 수업 관찰’을 적용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좋은 수업’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공동체에 관한 초등교사의 인식: 중요도-실행도를 중심으로
- 예비 국어교사의 수업 실연 경험과 수업 어려움 연구
- PISA 2015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수학 하위범주를 중심으로
- 놀이중심교육을 위한 바깥놀이의 의미와 활성화 방안 탐구
- 방학중 집중학습을 통해 살펴본 TOEIC 학습자의 ‘이해가능한 입력(comprehensible input)’에 대한 고찰
- 아동의 배려와 다문화 수용성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실천적 독도교육 방향 모색
- 여대생이 지각한 심리적 진로장벽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예비교사의 보육실습 경험을 통한 영아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인식
-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한 학업동기 프로파일
- 아동의 자아개념이 반편견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 데이트 폭력의 실태와 예측요인 탐색
- 커뮤니티매핑 활동이 예비교사의 지리공간기술의 교육적 활용성향에 미치는 영향
- 미용교육 현장실습 구성요인이 만족도 및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 사회·정서 프로그램의 메타분석
- 전문대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B대학교 유아교육과를 중심으로
-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 교육학에서의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문헌연구를 통한 영어전용강좌(EMI)의 교육적 효과 분석
-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른 유아의 행동 특성 분석
- 대학수업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의 효과성 연구
-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이 경험하는 동료장학과 컴페션(compassion)이 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긍정적 감정과 집단적 자긍심을 매개로
- 예비유아교사의 음악 관련 경험에 따른 음악적 자아개념과 음악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 원전지역 주민참여형 에너지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자아탄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사범대학 재학생의 대학생활 특성 탐색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담화 표지 교수·학습 연구: ‘그러게, 그러니까’를 중심으로
-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특성의 비교
- 유아의 정서능력과 낙관성, 음악능력, 기초언어학습능력 간의 관계분석
- 예비전문상담교사 양성을 위한 대학 교과교육론(상담)교과목의 운영 및 개선 사례연구
-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중등특수교사의 체육학습공동체 활동경험과 교사교육관점에서의 교육적 의미 탐색
- 자기주도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영화와 글쓰기 활용 PBL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생태주의에 입각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수업 사례 연구
- A teacher’s role in the academic socialization process of a group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 Korean EFL classroom
- 통합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중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단일대상연구
- 초, 중 전환기 학생의 학교적응 프로파일의 종단적 변화 및 예측요인 검증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자료에 나타난 복잡성 및 정확성 연구 -숙달도 측정 지표로써의 활용 가능성-
- 한국 대학의 영어전용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인식 연구
-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살태도와 도움관련 의도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 기초간호과목 블렌디드 러닝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기대에 관한 인식 탐구
- 게임놀이와 연계한 유아 실외 동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 고등학교『생활과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결혼을 매개로 한 가족 윤리의 내용 분석
-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학교폭력 피․가해 학생 상담프로그램이 외상후성장에 미친 영향
- Wee센터 학교상담자 역할에 대한 Wee센터 상담실무자의 인식: ASCA 학교상담모형을 중심으로
- 디자인싱킹 기반 STEAM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영재학생에게 기업가정신과 STEAM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숨은그림찾기 활동이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전전두엽 실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xploring Implementation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Education in Northern Thai Classrooms
- 스포츠리듬 트레이닝이 초등학생 배드민턴 선수의 학생건강체력과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수학교사들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활동이 디지털교과서 효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학업중단 학생들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과 삶의 만족도, 우울의 관계: 진로장벽과 진로낙관성을 매개로
- 신문을 활용한 토의활동이 만 5세 유아의 리더십과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 정약용의 인성론과 도덕과 교육 시사점
-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 동향 분석 - 중·고등학생 대상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육연구의 효과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
- 문법 영역 평가 문항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응시자 요인 탐색을 위한 교사의 역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