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말론 시대 유토피아 사유의 가능성

이용수  488

영문명
Utopian Possibility in the Apocalyptic Era: Cormac McCarthy’s The Road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이명호(Myungho Lee)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4권 3호, 113~14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는 유토피아 상상력을 대신하여 아포칼립스 상상력이 지배하는 시대이다. 근대를 지배했던 꿈을 깨뜨리는 것이 생존의 힘이자 윤리라고 인식하는 흐름이 비평적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종말론 이후의 폐허가 인간이 직면해야 할 세계로 인식되고 있다. 이런 종말론의 세계에서 현재와 다른 질서, 다른 미래를 상상하는 유토피아 담론은 과격한 비판의 대상이 되거나 담론의 재조정을 요구받고 있다. 이 글은 종말론 담론의 압도적 위세 속에서 유토피아 담론이 종말론과 갖는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해보고, 이를 코맥 맥카시의 작품에서 구체적으로 점검한다. 맥카시의 『로드』는 생존과 선, 절망과 희망이 길항하는 소설이다. 『로드』는 비인간성의 한가운데서 인간이 되는 길을 선택하고, 인간과 세계의 질적 변화를 추구함으로써 미래를 열어놓는다. 이 글은 『로드』를 사로잡는 생존과 도덕, 파괴와 구원의 길항을 아포칼립스적 상상력과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경합과 결합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현대 문화의 지평에서 사라진 듯 보이는 유토피아 상상의 출현양상을 살펴본다. 이런 관점은 희망과 구원을 값싼 감상성이나 휴머니즘으로의 퇴행으로 읽어내는 주도적 비평흐름에 맞서 유토피아 상상을 복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종말 이후의 동물화된 세계에 대한 사실주의적 기술과 아버지의 멜랑콜리적 시선, 부자가 나누는 베케트적 대화와 아들의 언어를 통해 드러나는 그의 윤리적 차이, 그리고 소설 말미에 덧붙여진 자연묘사는 작품에서 아포칼립스적 상상과 유토피아적 상상이 표현되는 특징적 양태이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world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ominance of apocalyptic imagination. Shattering modern utopian dreams is accepted both as a viable survival force and an ethical position, which are represented as apocalyptic narrative.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utopian imagination with apocalyptic imagination in Cormac McCarthy’s The Road. The Road is a novel that tells a mythical story and touches contrasting yet opposite values, good and evil, hope and despair. This article discusses how McCarthy’s novel is playing with opposites as its discourse contains elements of utopia as well as apocalypse. Realistic descriptions of animal-like world after the unknown disaster and the father’s melancholic view, Beckettian dialogue between the father and the boy and the latter’s ethical difference through his verbal act and moral action, and nature poems in the epilogue are three distinctive modes through which apocalyptic imagination and utopian imagination are represented in the novel.

목차

1. 상상력과 파상력: 유토피아와 아포칼립스의 길항
2. 인간동물이 거주하는 무세계성과 멜랑콜리적 시선
3. “괜찮아요”-공생의 세계를 만드는 언어행위와 도래할 공동체
4. 자연의 텍스트에 새겨진 생성의 흔적
5. 가까스로 희망을
인용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호(Myungho Lee). (2019).종말론 시대 유토피아 사유의 가능성. 비평과 이론, 24 (3), 113-141

MLA

이명호(Myungho Lee). "종말론 시대 유토피아 사유의 가능성." 비평과 이론, 24.3(2019): 113-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