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짓으로서의 영화

이용수  925

영문명
Cinema as Falsehood: On Cinema’s Media-Specificity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남수영(Soo-Young Nam)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4권 3호, 79~11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0.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바쟁이 영화가 필연적으로 위조의 뉘앙스를 가진다고 말한 것은 어떤 의미일까? 이후 현대철학자들의 평가도 흥미롭다. 들뢰즈는 영화의 “거짓으로서의 역량”을, 바디우는 영화의 “거짓된 움직임”을 이야기했던 것이다. 20세기를 대표하는 리얼리즘의 장인 영화가 이와 같이 ‘거짓’과 연결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흥미롭게도 이런 평가들은 영화가 문법적으로 창의적인 서사를 창조하는 힘을 가졌다는 것과 동시에, 그것이 얼마나 현실의 모습에 닮아있는지를 역설적으로 재확인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영화는 현실의 일부이지만 현실이 아닌 모습으로 드러나는 복제이미지로 구성됨으로써, 어떤 식으로든 겉보기와는 다른 말을 건네고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영화이미지의 구성과 영화적 스토리텔링의 특징들을 문학, 연극과 같은 기존 예술과 매체와 비교하여, 현실에 가장 가까운 듯한 실사영화가 바로 그런 이유로 가장 거짓에 가까워지는 역설을 지니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여기서 거짓은 사실관계에 따라 검증가능한 결과로서의 팩트를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거짓’은 상상이나 드라마와 같은 예술적 차원의 창작 요소로서의 픽션을 의미하는 것 또한 아니다. 이 글에서 ‘거짓’은 보이는 것과 다른 위조, 꾸밈과 감춤이라는 이중적 의미의 위장, 그리고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서사적 의미와 다른 넌지시 작동하는 또 다른 텍스트 등, 다양한 의미, 그리고 타자성을 매개하는 영화의 다층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이다. 본고는 영화의 거짓된 조각들에 영화가 구성하고 해체하는 다양한 시공간을 ‘연극적인 영화’ 속 대립적 시선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영화가 서사적 파편화와 경험적 완전성 사이에서 불순한 종합을 추구하고 있음을 증명할 것이다. 영화의 현존성은 타 매체와 달리 매개와 무매개의 교차 구성을 통해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자기 동일성을 넘어 불가능한 타자와의 공존을 보여주는 것이 영화의 허구의 역량이라 주장하고, 이것이 결국 진실의 역량임을 보여준다. 이 역량은 결국 이미지와 영화의 운명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With this study of cinema as falsehood, I examine the cinematic media-specificity through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cinema in comparison with literature and drama. My discussion of the falsity of cinema ranges from Bazin, Deleuze, Ranciere, Badiou to Benjamin. With these representative thinkers in the 20th century, I will show the way in which cinema gains the power to create fictional world by taking real images from the world, which in turn explains a sense of incongruity and impurity to cinematic realism. Specifically, Badiou’s elaboration of false movements and Ranciere’s idea of the power of the film fable will help us clarify some important problems of thought-image raised by Deleuze. On the textual level, I will focus on some cases of cinematic construction of novels and theaters in order to prove the power of the Other as cinematic media-specificity. The cinema produces its own presentness with a multiple type of camera’s mediation so as to create a space for viewing subject. In the viewing experience or within the cinematic space, the subject fulfills his/her ambivalent need to see the world from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o be seen from the side of the world in a reversed way. From these false spaces and movements, this essay provides the ways in which cinema constructs and deconstructs congruous space, which is equivalent to the impure power of philosophical of thinking: that is the ability to embrace the Other. In this sense, the cinematic power of the false is in fact its power of truth. This power determines the future of images and cinema.

목차

1. 서론: 영화의 거짓됨
2. 진짜라서 더 거짓이 되는 움직임
3. 문학보다 더 문학같이, 연극보다 더 연극같이
4. 연극의 현존성(presentness)과 클로즈업(close-up)
5. 연극적인 것과 영화적인 것의 철학적 종합
6. 배우의 공간과 거짓된 현존성
7. 이미지의 진실된 역량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수영(Soo-Young Nam). (2019).거짓으로서의 영화. 비평과 이론, 24 (3), 79-112

MLA

남수영(Soo-Young Nam). "거짓으로서의 영화." 비평과 이론, 24.3(2019): 7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