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
이용수 929
- 영문명
- The Effect of Married Woman’s Job Stress and Mindfuln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 발행기관
- 한국통합치료학회
- 저자명
- 송금란(Song, Geum-ran) 정은정(Chung, Eun-jung)
- 간행물 정보
- 『통합치료연구』제11권 제1호, 5~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혼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및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자기조절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마음챙김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적응적인 자기조절을 사용하는 것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혼직장 여성 30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통계분석에는 SPSS 23.0과 Hayes(2013)가 제안한 SP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관계에서 마음챙김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과 마음챙김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마음챙김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마음챙김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조절의 조절효과는 증가하였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마음챙김을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조절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직무스트레스가 마음챙김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조절의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한점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hows to establish the a controlled effect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arried woman. Especially when you check the adjustment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affect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sing adaptive selfregulation was intended to determine if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increase.
In order to do so, the survey conducted a survey of 303 female working women in Korea. Statistical analysis uses by SPSS 18.0 and Macro proposed by Hayes(2013).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indfulness showed partial effectiveness. This means that job stress is direct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indfulness. Second, when the mindfulness influences psychological well-being, regulation of self-regulation occurs.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level of mindfulness the greater the adjustment effect of self-regula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can be heightened by adjusting the level of mindfulness when dealing with job stres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