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박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838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mothers experiencing Dokbak paren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우영(Jeong Woo-young) 박성혜(Park Seong-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711~7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독박육아 경험에서 어머니가 인식하는 본인과 가족 구성원들의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현재 독박육아를 하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24일부
터 5월 5일까지 연구 참여자 별로 2회씩 개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들이 인식한 본인의 어려움은 잠시도 쉴 틈이 없는 하루의 반복과 수면 부족에이은 건강의 적신호, 아쉬운 육아 지원제도, 배울 곳이 없는 육아 방법, 경력단절과
복직에 대한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족 구성원들이 겪는 어려움은 소원해진관계로 인한 남편과의 불협화음, 유일한 육아 지원자인 친정엄마에 대한 죄송한 마음, 불가능한 둘째 자녀 계획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독박육아를 하는 어머니와 가족 구성원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정책의 방향성 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difficulties of self and family members perceived by mother in the experiences of dedicated mother parenting, the so called ‘Dokbak’ parenting. To this end, six mothers with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parenting alone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to collect data for each study participants from February 24 to May 5, 2019. As research results, mothers perceptions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Dokbak’ parenting were revealed as follows: The red light of health following daily life repetition that can t rest at all and lack of sleep, the shortcomings in
child care support systems, no place to learn parenting methods, and fear from career interruption and reinstatement. Difficulties encountered with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turned out to be a continued discord with their husband, always feeling sorry for their mothers, and impossible next child birth plan.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ffective policy making for ‘Dokbak’ parenting mothers and their families, and provided basic data need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polic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공감역량,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Paul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고찰
-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교사-아동관계의 차이에 관한 분석
- 경로분석을 통한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기,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분석
- 타 교과 생활화 반영 양상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의 생활화’ 개선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메이크업 수업 연구
- 경기도 지역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생애목표 잠재프로파일 분석:자율성 지지 및 통제의 예측효과
-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 한·중 대학 핵심역량교육 비교연구
- 관형사절과 피수식체언의 상관성 고찰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 교장 지도성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관계와 교사 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촌락지역 초등학생의 마을 장소감 형성 연구: 아파트 거주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원이 인식한 학교장 교육과정 리더십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첨단기술 활용 미술 창작의 사례에 기초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가능성 탐구
- 그림책 중심 아동문학수업 경험이 영유아 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역량,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분석
-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50+ 세대의 문화예술교육 활동 제약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박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ACTFL OPIc 분석 연구
- 대인간 외상경험과 성인기 해리와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 ‘동정과 연민, 사랑’의 관점에서 바라본 손창섭 소설의 공감교육 - 「비 오는 날」과 「생활적」을 중심으로 -
- 초기 청소년기의 자존감과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 대학 생활 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대학원 체육전공생들의 진로목표와 진로목표 변화에 대한 의미 탐구
- 경력단절여성학습자의 대학교 학습경험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 유아 수학교육 활동 관련 연도별 연구동향과 과제
- 대학생 학사경고자의 학업부진 유형별 학습지원 요구분석
-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에너지 교육의 효과성 분석
- 한 중학교 미진학 농민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혁신적 학습 환경에 대한 고찰
- 전문교과 교사의 쓰기 윤리 교육 관심도 및 인식 조사 연구
-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탈북학생을 위한 플립러닝기반 자기주도 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대학 입학 1년 후의 행복 결정 요인 탐색
- 플립드러닝 대학수업에서 수업의 질이 학습동기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여학생 넷볼 수업 운영 경험과 성장에 관한 셀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환충격, 회복 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유·초등 연계를 위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 내용요소 탐색 및 개정방안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공격성,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 원가족 건강성이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부부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도와 보유도: 다학제 전공 접근
- 아동의 기질 발달: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조절효과
- 톨스토이의 명언을 활용한 하브루타 중심의 글쓰기 학습 방안 연구
-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리얼 태권도 운동 프로그램이 성장기 초등학생의 학생건강체력 및 태권도 학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신체상과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어려움: 개인면담을 활용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아의 정서지능 및 리더십이 놀이특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이 교수창의성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