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초등 연계를 위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 내용요소 탐색 및 개정방안
이용수 464
- 영문명
- A Study of Exploration and Revision on the Physical Activity Contents of the ‘Pleasant Life’ for the Connection between Kindergarten with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윤석(Lee Yunseok) 박상봉(Park Sangb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9권 20호, 257~2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 내용요소를 탐색하고 개정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및 체육교육 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2018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총 3회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심층면담, 관련 문서자료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델파이 내용 분석은 CVR과 합의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들이 유·초등 연계를 고려한 ‘즐거운 생활’ 신체활동 내용요소로 합의한 항목은
‘신체와 공간 인식하고 움직이기’, ‘감각 능력 기르기, 신체 협응’, ‘비이동 움직임’, ‘표현 놀이’, ‘음악에 어울리게 몸으로 표현하기’, ‘기본 습관 형성’, ‘게임 기능(단거리 달리기, 피하기, 빠져 나오기 등)’, ‘친교 놀이’, ‘공으로 하는 기초 활동 및 놀이’, ‘전통놀이’, ‘바깥놀이’, ‘가족과 함께 할 수 있는 놀이’ 등 총 12개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놀이의 비중 확대, 신체 인식과 움직임 교육의 강화, 유치원과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 요소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신체활동 강화를 위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개정 방안으로 ‘몸 알기’, ‘몸 기르기’, ‘몸 다루기’, ‘몸으로 표현하기’, ‘몸으로 즐겁게 놀기’의 총 5가지 영역과 필수 신체활동 요소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elements of the physical activity content of a ‘Pleasant Life’ course in consider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Nuri education course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ourses and present a revised plan. For this, it set study issues and performed three times of Delphi
Techniques on 9 specialists in kindergarten education and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rom July 2018 to March 2019.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ritten report and document data. The data analysis applied the CVR and degree of agreement. The results of the third Delphi showed that experts had agreed on 12 items of ‘Pleasant Life’ in consider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here
were ‘To recognize and move the body and space’, ‘To develop sensory abilities and physical co-operation’, ‘Nonlocomotor Movement’, ‘Expression play’, ‘ Express with body to fit music’, ‘ Formatting basic habits’, ‘Game Functions’, ‘Friendly play’, Basic activities and play with balls‘, ’traditional play’, ‘Outside play’, ‘Play with your family’. Based on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need to expand the weight of play, enhance physical awareness and mobility education, and link factor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courses.
Finally, a total of five areas that are Knowledge Your Body , Grow Your Body , Treat Your Body , Express Your Body and Enjoy Your Body and essential physical activity factors as a way of amending the ‘Pleasant Life’ for strengthening physical activities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신체활동 강화를 위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개정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공감역량, 임상실습 스트레스가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 Paul Ernest의 수학적 지식 구성과정에 대한 교수학적 고찰
- 부모의 교육열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 존중감, 행복감, 학업수행능력, 교사-아동관계의 차이에 관한 분석
- 경로분석을 통한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기,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분석
- 타 교과 생활화 반영 양상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3·4학년 ‘음악의 생활화’ 개선 방안 연구
- 초등학생의 부모양육태도, 학교적응, 자기효능감과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플립러닝을 활용한 메이크업 수업 연구
- 경기도 지역 초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분석
-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와 생애목표 잠재프로파일 분석:자율성 지지 및 통제의 예측효과
-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적응력이 학업성취 및 중도탈락에 미치는 영향
- 한·중 대학 핵심역량교육 비교연구
- 관형사절과 피수식체언의 상관성 고찰
- 훈민정음 제자원리에 기반한 한글 파닉스 지도 프로그램이 학습장애 아동의 단어 읽기 및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 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 교장 지도성과 교직 만족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관계와 교사 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 촌락지역 초등학생의 마을 장소감 형성 연구: 아파트 거주경험을 중심으로
- 초등교원이 인식한 학교장 교육과정 리더십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첨단기술 활용 미술 창작의 사례에 기초한 디지털 미술교육의 가능성 탐구
- 그림책 중심 아동문학수업 경험이 영유아 교사에게 주는 의미 탐색
- 초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다문화 역량, 다문화 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분석
- 동시활용 차문화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공감능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50+ 세대의 문화예술교육 활동 제약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독박육아를 경험하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려움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ACTFL OPIc 분석 연구
- 대인간 외상경험과 성인기 해리와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 수학 교과학습에 삽입한 진로교육활동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
- ‘동정과 연민, 사랑’의 관점에서 바라본 손창섭 소설의 공감교육 - 「비 오는 날」과 「생활적」을 중심으로 -
- 초기 청소년기의 자존감과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 간의 종단적 관계
- 대학 생활 문화에 대한 외국인 학부생의 교육 요구도 분석 -저학년과 고학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교육대학원 체육전공생들의 진로목표와 진로목표 변화에 대한 의미 탐구
- 경력단절여성학습자의 대학교 학습경험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 유아 수학교육 활동 관련 연도별 연구동향과 과제
- 대학생 학사경고자의 학업부진 유형별 학습지원 요구분석
- 실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 예비교사를 위한 에너지 교육의 효과성 분석
- 한 중학교 미진학 농민의 학습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 의과대학의 문제중심학습 수업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 혁신적 학습 환경에 대한 고찰
- 전문교과 교사의 쓰기 윤리 교육 관심도 및 인식 조사 연구
-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메타포 분석
- 탈북학생을 위한 플립러닝기반 자기주도 영어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대학 입학 1년 후의 행복 결정 요인 탐색
- 플립드러닝 대학수업에서 수업의 질이 학습동기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초등 교사의 여학생 넷볼 수업 운영 경험과 성장에 관한 셀프 연구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환충격, 회복 탄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유·초등 연계를 위한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활동 내용요소 탐색 및 개정방안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과잉간섭이 공격성,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 원가족 건강성이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부부갈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대인존재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중요도와 보유도: 다학제 전공 접근
- 아동의 기질 발달: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과 구직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장벽의 조절효과
- 톨스토이의 명언을 활용한 하브루타 중심의 글쓰기 학습 방안 연구
-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리얼 태권도 운동 프로그램이 성장기 초등학생의 학생건강체력 및 태권도 학습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대학생의 신체상과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유능성의 매개효과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어려움: 개인면담을 활용한 합의적 질적 분석
- 유아의 정서지능 및 리더십이 놀이특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이 교수창의성 및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