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counter of Two Kinds of Althusserian Effect: For A Productive Duet of Over-determination/ Under-determination and Aleatory Materialism/Materialism of Encounter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연구학회
- 저자명
- 심광현(Shim, Kwang Hyun)
- 간행물 정보
- 『문화연구』제7권 제2호, 3~4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tienne Balibar once estimated his teacher Althusser as ‘a vanished mediator’ of a process from innovation of Marxism to dissolution of Marxism. But, in this paper, I will establish that the true character of Althusser’s thoughts was in the construction of a new Marxism of future through a philosophical duet of two conceptual melodies. One was theoretical practices (Effect-A) which was composed of exact analyses of conditions of reproduction of relations of production and interventions into history, politics and philosophy of Marxism. The other was theoretical practices (Effect-B) for class struggles and revolution which cause cracks in the stable conditions of reproduction of relations of production.
This perspective opens a productive vision to use his late thoughts (aleatory materialism and materialism of encounter) as a theoretical means of analyses to explain changes from over-determination of stable social systems to underdetermination of unstable social systems. The first melody of over-determination presents the process how accident encounters of many events had condensed into historical necessities of capitalistic relations of production for a long time.
The second melody presents possibilities of new encounters to be opened from fissures & vacua generated in those necessities during unstable transitive period.
목차
1. 두 가지 ‘알튀세르 효과’의 공존 가능성
2. 안정기의 과잉결정에서 이행기의 과잉결정⋅과소결정의 동시성
3. 마주침의 유물론과 우발성의 유물론의 짝패 구조
4.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마주침
5. 알튀세르 효과(2), 대중을 위한 철학
6. 21세기 이행기의 알튀세르 효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