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듀이의 교육적 가치 이론과 오래된 미래 학교 - 미래교육 담론에 대한 성찰 -
이용수 550
- 영문명
- Dewey’s Theory of Educational Values and the Implied Vision for Ancient Future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양은주(Yang, Eun-Joo)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敎育哲學 第72集, 183~21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0.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Recently, discourses on ‘future education’ have been increasing in academic and policy interests in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Dewey’s theory of educational values for critical reflections on the educational problem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school education in Korea. To begin with,
the discourses of future education are to be outl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Next,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s an essential concept in Dewey’s theory of educational values and the principle of unity of experience are to be elucidated.
Finally, based on Dewey’s thoughts, I will try to clarify the challenging tasks for developing the students’ habitual dispositions, which are gradually to be transformed through the qualitative appreciation of direct values from well-regulated school experience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미래교육 담론의 특성과 한계
Ⅲ. 듀이의 가치체감 개념과 경험의 통일성 원리
Ⅳ. 학교의 오래된 미래 가치 회복의 과제
Ⅴ.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