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s warmth parenting and Perception of School Life on academic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현정희(Hyun, Jeong-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3권 제3호, 125~1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인식이 학교적응을 매개로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초등학교 1학년에 해당하는 8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변인 중 결측값이 없는 970명의 자료를 SPSS와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인식은 종속변수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없었으며, 매개변수 학교적응을 통해 간접효과와 총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인식이 학업수행능력에 있어 학교적응의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학업수행능력을 위해 무엇보다 초등학교 1학년 시기 성공적인 학교적응이 중요하며, 이는 부모의 온정적인 양육태도와 아동이 학교생활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hild  s perception of school life and the parent  warmth parenting on school performance through school adjustment. To do this, we used the 8th year data for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among the Korean children  s panel data and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hildren s school life and the parental temperate parenting attitude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Only the indirect effect and the total effect were significant, Was interpre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chool achievement of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important for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school, and it is important that the parental warmth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children  s positive perception of parenting attitude and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초등 1학년 아동의 학교생활 인식이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학업관심도 및 어머니-자녀 상호작용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대인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 유아의 아버지 원가족 부모애착 경험과 자녀양육참여의 관계에서 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경제교육활동이 유아의 경제개념에 미치는 영향
- 영어학습에 대한 유아의 흥미 및 불안 척도 개발
- 예술적 상상력 기반 수업의 의미 탐색
-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존중, 인권의식이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 비도심지역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개인변인, 또래놀이행동, 사회적유능감, 문제행동이 초등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배경변인 및 음악교수 내용지식과 음악교수 효능감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