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이용수 147
- 영문명
- Analysis of Vanitas Art-based Nai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지승희(Seung-Hui Ji) 도주연(Ju-Yeun Do)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3호, 207~21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2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times, nail art has become more than just nail care. In fact, it has grown into a means of special nail treatment that requires a particular technique and personality expression. With rapid trend changes, the development of diverse designs and the increase in the desire for new art, there has been a rising demand for artistic, creative and unique nail designs. The secular desire describing human extravagance has been called ‘Vanitas’. Since the 17th century, still-life paintings that symbolized vanity in life became popular. During that time, a vanitas adopted a motif that implied the vanity of life such as an hourglass, skeleton, cigarette, candle without a flame, upside-down glass cup, wilted flower and rotting fruit as allegory. For this, the study investigated diversity in nail design by analyzing various nail techniques according to the tastes of the young generation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vanitas art - death, desire, futility and reflection. Therefore,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ories on the philosophy and characteristics of vanitas art to suggest practical and artistic nail art. Second, it designs meaning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vanitas as a nail art motif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literature. Third, this study designs diverse backgrounds for nail art according to vanitas art. Fourth, it analyzes formative aspec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vanitas art. The analysis of the formative aspects of vanitas-based nail design found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with nail parts and irregular stone arrangement. In addition, a 3D curved design was created, using tapeline, string, figures and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Furthermore, diverse visual effects were generated by altering the expression of the plane texture or spatial layout of color. It’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be helpful in maximizing the artistic utility of nail art as a means for nailists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not just a way for simple nail care or treatment.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작품제작 방법
Ⅳ.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아트 디자인 연구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인 남·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두피 및 모발 손상에 관한 연구
- 바니타스 아트(Vanitas Art)를 응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 대학 교양 교과목으로서의 미용교육 교과모형개발 NCS 기반 훈련과정편성 방법의 활용
- 헬스&뷰티 스토어의 소비성향이 제품선호도와 구매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1인 미용실 이미지가 고객 만족도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모낭충 관련 특허 동향 분석
- 스파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 그라비올라 껍질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미용학원 수강생의 학원선택이 진로결정 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미용전공 대학생의 교육과정 및 교육만족도와 직무효능감 연구
- 연령에 따른 항노화서비스의 필요성과 건강증진행위 수행도의 비교
- 뷰티산업 종사자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뷰티산업 발전 가능성, 융복합산업 중요도, 개인역량 중요도 인식 간의 구조관계 연구
- 네일고객의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가 네일 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에서의 Online to Offline (O2O) 서비스 확장 가능성 연구
- 프로폴리스(Propolis)를 처방한 트리트먼트제가 손상모에 미치는 영향
- 피부미용사의 심리적 특성과 성과 간 인과적 관계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 담장의 조형성을 모티브로 한 남성 헤어 타투 디자인 작품 연구
- 추출방법에 따른 Neem의 항산화, 항균 활성 및 항염 효과 비교
- 차크라 각성과 자율신경면역의 상관관계에 대한 문헌고찰
- 한국 단청무늬 중 꽃문양을 응용한 업스타일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