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자(老子)의 교육적 사유에 관한 재검토
이용수 264
- 영문명
- The Reexamination of Laozi s Educational Thought : Focusing on the critique of confucianism and the educational paradox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송민규(Song, Minkyu) 신창호(Shin, Chang-H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72輯, 243~2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노자(老子) 도덕경(道德經)을 당대 사회 전반에 대한 대안 사상이 아니라 유가(儒家)에 대한 비판과 교육에 관한 모순을 지시하는 사유임을 부각한 논의이다. 춘추 전국시대의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당시 사회의 혼란을 바로잡으려는 나름대로의 목표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유가는 ‘위정자 교육을 통한 사회변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이성과 합리성에 기초한 교육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노자는 사회 발전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오히려 사회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고 보고, 교육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에 기초한 유가의 정치와 교육적 기획을 비판하였다. 대신, 비합리적 믿음을 기초로 하는 새로운 교육적 사유를 제기하였다. 이는 인위적 가치 지향을 강조하는 교육의 차원에서 볼 때 교육적 모순을 낳지만, 그 자체가 또 하나의 다른 교육적 가치를 지향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Tao Te Ching of Laozi should be read as a critique of Confucianism and a paradox of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then the society. Thinkers of the Hundred Schools of Thought shared the goal of correcting the social turmoil of the time. Especially, Confucianism had set its purpose to bring about social change through educating the politician based on reason and rationality. However, Laozi believed that the Confucianistic efforts to lead society for the better were in fact aggravating the social unrest. Therefore Laozi tried to disillusion such a Confucianistic view on education, that is, the belief that education is a means of social change. Instead, Laozi proposed an educational idea, at the core of which lie irrational beliefs. Though his educational idea appears to be paradoxical, given the common notion that education involves getting students strive towards artificial values, it strives yet another educational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사유의 지향과 교육 인식
Ⅲ. 유가 교육 비판과 교육적 모순의 교육성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대강화와 상세화에 관한 일고
- 현행 시간제등록제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 탐색
- 중ㆍ고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
- 상담자 정책역량 강화를 위한 대학원 교육방안
- 지방캠퍼스 대학생의 대학생활 초기 적응 스트레스 대처과정
- 노자(老子)의 교육적 사유에 관한 재검토
- 초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 유형 분류와 예측 및 긍정적ㆍ부정적 결과 차이 검증
- 교수-학습 관련 코칭 연구 동향 탐색
- 부ㆍ모 의사소통과 스마트폰 과의존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 비인가 대안학교 구성원이 인식하는 대안교육의 성공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가, 시ㆍ도, 학교 수준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실태 분석 연구
- 북한배경학생의 통합교육에서 교사가 겪는 딜레마
- 전시체제기(1937-1945)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정책의 성격 규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