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Disposition When a Lessor Without Disposition Authority Acquires the Rights of Rental Housing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저자명
- 양형우(Yang, Hyung-Woo)
- 간행물 정보
- 『재산법연구』財産法硏究 第36卷 第2號, 159~18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 민법은 처분권한부여, 처분권한의 추후 보완(추완)에 관하여 규정을 하지 않아 법률의 흠결이 존재한다. 무권리자가 처분행위를 한 후에 목적물의 권리를 취득한 경우, 원칙적으로 물권변동의 효과로서 흠결된 처분권한이 추완되고, 따라서 상대방은 다른 추가적인 법률행위 없이 그 시점부터 적법하게 권리를 취득한다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대상판결은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1항이 적용되는 임대차에는 주택의 소유자는 아니지만 주택에 관하여 적법하게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임대인과 사이에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경우도 포함된다고 한다. 따라서 주택에 관한 부동산담보신탁계약을 체결한 경우, 임대권한은 수탁자에게 있으며, 위탁자가 수탁자의 동의 없이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후 그 주택을 임차인에게 인도하고 임차인이 전입신고를 마친 때에는 위탁자가 신탁재산의 귀속을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즉시 임차인은 대항력을 취득한다고 하여, 처분권한의 추완을 인정하고 있다. 대상판결은 추완의 법리에 따라 처분권한이 없는 임대인이 주택의 소유권을 취득하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1항의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은 임대인이 소유권을 취득한 즉시 대항력을 취득한다고 명확히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임대인에게 처분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임차인의 우선변제권을 부정한 대법원 2014.2.27. 선고 2012다93794 판결을 폐지하지 않았다는 점이 아쉽다. 입법적으로는 독일민법 제185조와 같은 규정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Civil Code of Korea has no provisions on granting disposition authority or supplementing (complementing) disposition authority subsequently so there are flaws in the law. In principle, if an unentitled person acquires the right of an object after an act of disposition, the flawed disposition authority is complemented by the effect of the change in a real right. Therefore, the other party should interpret that the right is lawfully acquired from that point on without any additional legal acti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44879, 44886 decided on March 28, 2019, states that leases subject to Article 3(1)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nclude cases where a lease contract is signed with a lessor who is not the owner of the house but has the authority to legally enter into a lease contrac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when a real estate collateral trust contract is concluded, the trustee has the power to lease, and when the truster enters into a lease contract with the consent of the trustee and the house is delivered to the lessee and the lessee completes the moving-in report, the subsequent complement of disposition authority is recognized, as the lessee acquires opposing power as soon as the truster completes the registration of ownership transfer due to the attribution of trust property.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8Da44879, 44886 decided on March 28, 2019, is significant in clearly stating that when a lessor without disposition authority acquires the ownership of a house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s of complement, the lessee who meets the requirements for opposing power prescribed in Article 3(1)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obtains opposing power immediately after the lessor acquires ownership, but it is considered undesirable that Supreme Court decision 2012Da93794 decided on February 27, 2014, was not abolished which denied the lessee’s right to preferential payment on the grounds that the lessor did not have disposition authority.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it would be advisable to establish provisions similar to Article 185 of the Civil Code of Germany.
목차
요지
[사실관계 및 소송경과]
Ⅰ. 사실관계
Ⅱ. 소송경과
[연구]
Ⅰ. 머리말
Ⅱ. 처분권한 없는 자의 처분행위
Ⅲ. 처분권한 없는 자가 임대물의 권리를 취득한 경우 처분행위의 효력과 주택임대차의 대항력
Ⅳ. 대상판결의 평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처분권한
처분행위
처분권한부여
처분권한의 추완
무권리자의 처분행위
처분행위의 추인
무권대리행위의 추인
무권리자의 권리취득
주택임대차의 대항력
Disposition authority
disposition act
granting disposition authority
complement of disposition authority
unauthorized disposition
ratification of disposition
ratification of an unauthorized representative act
acquisition of rights by an unentitled person
opposing power of housing leas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으로 체결한 대중여객운송계약과 청약철회권
- 증강현실과 제조물책임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
- 신설된 일본민법상 대상청구권 규정을 계기로 한 입법론적 제언
- 상가권리금 회수기회 보호의무의 기간 제한에 관한 소고
- 신종계약의 법적 규율
- 의료계약의 민법전 도입 가능성
- 이행불능 유형 구별 기준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처분권한이 없는 임대인이 임대주택의 권리를 취득한 경우의 처분행위 효력
- 전통법 및 관습법에서 시효제도의 인정가능성
- 중국민법의 부재선고(宣告失踪)와 실종선고(宣告死亡)의 서론적 연구
- 미국법상 실종제도와 동시사망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