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bination Dyeing with Natural Dye: Focusing on Indigo Using Glucose Reduction and Japanese Pagoda Tre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최종명(Choi, Jongmyo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3권 제2호, 115~1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co-friendly fashion fabrics for LOHAS consumers. Silk fabrics were dyed with a combination of natural indigo using glucose reduction and Japanese pagoda tree and treated with mordants afterward. The color characteristics (L * a * b * value, Munsell color system, PCCS tones) of the silk fabric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dyeing order (Japanese pagoda tree→indigo vs. indigo→Japanese pagoda tree), the concentration of indigo dye (10g/L, 20g/L, 30g/L), and the type of mordants (Al, Cu, Fe, Zn). The silk fabrics showed a green yellow (GY) color regardless of the order in which the two dyes were applied, but the color tone differed depending on the dyeing order. Namely, when Japanese pagoda tree dye was applied first, the color GY had a light grayish tone, but when indigo dye was used first, it had a light tone. Also, the color tone differ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indigo. The color tone of silk fabrics dyed with Japanese pagoda tree first were a light grayish tone, but the color tone of those dyed with indigo first changed from a light tone to a soft tone as the concentration of indigo increased. In additi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ilk fabrics with combination dyeing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mordants. The color of the fabrics that were dyed Japanese pagoda tree first showed a light grayish tone of GY (Al, Cu, Zn) and a grayish tone of GY (Fe). On the other hand, the color of the fabrics that were dyed indigo first showed a bright tone of GY (Al, Zn), a strong tone of yellow (Cu), and a dark grayish tone of Y (F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자아인식 및 학교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식품제한에 따른 영양섭취실태
- 광주·전남지역 일부 초·중·고등학교 급식의 주요 영양소 공급량 평가 및 비교
- 경기지역 일부 중학생의 우유급식 희망 여부에 따른 우유 및칼슘급원 섭취실태 조사
- 어머니의 코칭역량과 유아의 자율성이 의도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
- 사용자 조사를 통한 대학도서관의 공간과 가구디자인 만족도와 선호도 분석
- 기업의 과도한 마케팅이 소비자스트레스 및 권리침해인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의 전통복식을 응용한 현대패션 디자인 -에도시대의 우키요에 ‘미인화’를 중심으로-
- 국내 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 Dear My Friends」에 나타난 베이비붐 세대의 여성 패션스타일 The Women s Fashion Style of the Baby Boom Generation in Korean Drama「Dear My Friends」
- 천연염료의 복합염색 연구: 포도당 환원 쪽과 괴화를 중심으로
- 청년층 자가가구의 주거실태 및 주택 마련 부담
- 보육서비스 이용특성 및 서비스시스템 개편의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