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립선언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 재검토
이용수 108
- 영문명
- Reexamining the Christian Spirit in the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 발행기관
- 혜암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용복(Kim, Yong-Bok)
- 간행물 정보
- 『신학과교회』제11호, 145~17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의 목적은 1919년경 대한독립을 ‘선언’하거나 ‘청원’하는 문서에 나타난 기독교 정신을 재검토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단계를 통해 연구 주제를 개진해나갔다.
첫 번째는 기독교인들에 의해 만들어진 선언서들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는 작업이다. 여기서 우리는 기독교인들이 독립운동에 참여한 동기와 목표를 확인하게 된다. 두 번째는 독립선언서나 독립만세운동 과정에서 기독교 정신이 어떻게 표출되었는가를 규명하고, 그 한계를 짚어보는 작업이다. 이 두 단계의 연구를 통해, 한국교회가 1919년 당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 역사적 의의가 검토될 것이다.
기독교인들의 선언서들은 몇 가지 기독교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첫째, 선언서에는 역사의 주권자인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반영되었다. 둘째로, 운동의 수단으로 기도와 성경 읽기가 강조되었다. 셋째, 저항의 방식으로 자기희생적 비폭력이 엿보인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독교의 독립 운동은 지극히 개별적 차원에서 일어났을 뿐, 교단 차원이나 교회의 공적 논의를 통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는 한계도 드러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hristian spirit shown in the documents ‘declaring’ or ‘petitioning’ for the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ese regime around 1919. To achieve this goal, I developed the research topic through the following two steps.
The first step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cuments which were prepared by Christians. Here I attempt to investigate their motivation of participation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its method and goal set by them. The second step is to examine how the Christian spirit was expressed in and reflected on the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and the whole movement, and to point out its limitations as well. Through these two steps of investigation I try to show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activities played by Korean churches dur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1919.
The declarations of independence written by Christians reflected some Christian features. Firstly, the documents manifested the Christian faith in God, the Sovereign of history. Secondly, they emphasized prayer and Bible reading as means of movement. Thirdly, they suggested the adoption of self-sacrificing nonviolence as the way of resistance. However, the Christian movement for independence only took place on an extremely individual level, revealing the limitation by the absence of public discussions in the denominational level.
목차
I. 들어가는 글
II. 독립선언서의 분류와 특징
III. 독립선언서와 기독교 정신: 의미와 한계
IV.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