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uclear Emergency Management using Accident Consequence Analysis Code
이용수 27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Borhan Uddin Gazi Muhammad Kim, Juyoul(김주열)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4호, 215~22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고리 3호기는 한국수력원자력㈜에서 개발한 신형 가압경수로(APR1400)로서 2016년 12월부터 상업운전을 개시하였다.
신고리 3호기에 가상의 중대사고를 가정하여 사고 초기 시간에 따른 방사성 핵종 농도와 방사선량 변화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에서 개발한 방사능방재 비상대응 규제검증 전산코드인 RASCAL을 사용하여 사고 시나리오 의 방사선원항을 평가하였다. 일반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대기 중 수송, 확산 및 침적 과정은 가우시안 플륨모델로 모사되는데 근거리에는 직선궤적 가우시안 플륨모델, 원거리에는 라그랑지안 가우시안 퍼프모델을 사용하였다. 장기정전사고와 냉각재상실 사고 시나리오에 대해 원자로 상태와 계절변화를 고려하여 소외 방사선량을 평가한 결과 가장 위험한 시나리오는 겨울에 발생하였고 사고 후 2일에 예방적보호조치구역인 5 km에서 총유효선량당량의 최대값은 장기정전사고의 경우 14 mSv, 냉각재상 실사고의 경우 0.08 mSv로 평가되었다. 긴급주민보호조치에 관한 국내 규제기준은 옥내대피의 경우 이틀간 10 mSv, 주민소개의 경우 일주일간 50 mSv이다. 장기정전사고시 즉각적인 주민보호조치가 필요하며 이 경우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현장방사능지휘 센터에서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려야 한다.
영문 초록
Shin Kori Unit 3 is a new pressurized water reactor in Advanced Power Reactor 1400, which was developed by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Co. and commenced commercial operation in December 2016. We calculated the radionuclide concentrations and related radiation doses at the early stage of accidents under the assumption of hypothetical severe nuclear accidents in Shin Kori Unit 3. In this study, the radiological source terms of the accident scenarios were evaluated using the radiological assessment system for consequence analysis code, which has been used as a regulatory software tool for emergency response applications developed by the United State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In general, the atmospheric transport, dispersion, and deposition processes of radioactive materials can be simulated by the Gaussian model using a straight-line trajectory Gaussian plume model for short distances and a Lagrangian Gaussian puff model for long distances. The most dangerous scenarios were observed during winter when we considered two accident scenarios, namely, long-term station blackout (LTSBO) and loss-of-coolant accident (LOCA), based on the reactor conditions and seasonal effects. The total effective dose equivalent values for LTSBO and LOCA were estimated to be 14 and 0.08 mSv, respectively, in the precautionary action zone of 5 km in two days after the accident.
According to Korean regulations on urgent public protective actions, the criteria are 10 mSv in two days for indoor sheltering and 50 mSv in one week for public evacuation. In the LTSBO case, we found that immediate public protective measures were required. Appropriate decisions must be made by the off-site emergency management center under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in Korea.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3. Results and Discussion
4. Conclusion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rratum : BS 8414를 적용한 외단열시스템의 건축용접착제 연소확대에 관한 연구
- 해외 원전해체 및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사례연구
- 강-콘크리트 양개형 방폭문의 강재량 결정을 위한 설계 민감도 분석
- 재난관리 조직의 레질리언스 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콘크리트 일탈방호시설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와점성계수를 이용한 토석류 퇴적 형상 수치해석
- 해일하중에 대한 조적조 건축물의 붕괴 침수심 평가
- 스마트 구조물 균열 감지를 위한 1차원 합성곱신경망(1D CNN) 딥러닝을 이용한 파괴 신호 특정 기법
-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Strength of Steel I-Beams under Non-Uniform Temperature Conditions
- 침수 취약지역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 공극 구조의 X-ray microCT 영상화를 이용한 사질토 투수계수 수치적 산정기법
- 드론을 활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지형 특성 분석
- 낙석방지울타리의 부재별 에너지 흡수능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연구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화재인자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대전시 3, 4공단 미세먼지(PM 10 )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 재질별 창호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초고층 주거복합 구조물의 시스템 식별 및 해석 모델 교정
- 공군 소방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자원동원 현황 및 문제점 고찰
- 가뭄대응을 위한 주간단위 강우-유출모형 개발
- 실측데이터와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분석
- Nuclear Emergency Management using Accident Consequence Analysis Code
- 습구흑구온도(WBGT) 추정모델 정확도 및 활용가능성 평가
- 강우조건에 따른 산악지반의 강도 및 함수특성
- 다부처 재해정보의 공동활용에 관한 연구
- 섬유상 여재를 활용한 여과형 시설의 부유물질 제거 및 역세 효율 분석
- ERA-Interim 자료와 결합된 WRF 모형의 호우사상 모의능력평가
- BCMS에서의 BIA와 RA를 위한 Quick-Hit Framework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