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ability Analysis of Steep-Sloped Sewer Manhole Using Observation Data and Numerical Analysis Model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정민(Lee, Jungmi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4호, 193~20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하수도 설계기준은 37년 전에 발간되어 하수관로 및 맨홀부 등의 설계 기술 및 건설 재료의 비약적인 발전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급경사지에서 최대유속 3.0 m/s 기준을 강제하고 있어 맨홀 추가 설치에 따른 공사비 과다로 인한 사업성 저하와 유지관리비용 증가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경사지 하수관로에 대해 유출모니터링과 도시유출모형을 통한 급경사지 하수관로의 실유속의 산정을 통해 하수관로 및 맨홀부의 안정성 분석을 수행하고 급경사지에 과다하게 설치되는 맨홀을 합리적으로 최소화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국외의 대부분의 기준에서는 우수관의 종류(재질, 공법, 크기 등)와 우수관의 보호 조치(앵커 설치, 변형 및 부식 방지 조치)의 반영에 따라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우수관의 최대 유속 기준이 대부분 4.5 m/s ~ 6.0 m/s이다. 특히 모니터링 결과와 SWMM 모형의 모의 유속을 비교를 통해 급경사지 지역에서는 강우량의 30% 정도가 우수관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모의실험 결과를 이용한 수치해석모형 의 구축 및 급경사지 하수관로 유출에 따른 맨홀부 영향 분석 결과 충격압의 크기는 유량과 경사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영문 초록
Sewage design standards published 37 years ago impose a maximum sewage flow rate of 3.0 m/s for steep slopes. As such, this does not reflect the rapid development of design techniques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ed in sewage pipes and manholes;
however, this results in problems such as reduced business value, due to excessive construction costs and increased maintenance cos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ationally minimize the excessive installation of manholes on steep slope sites, by performing a stability analysis on both sewers and manholes through a calculation of the real flow rate using the leakage monitoring and urban leakage model. According to most international standards, various criteria are applied based on the type of storm water pipeline (material, construction method, size, etc.) and the implemented protection measures of the storm water pipeline (anchoring, deformation, and corrosion prevention measures). Additionally, the maximum flow rate for storm water pipeline is found to lie between 4.5 and 6.0 m/s. In particular, a comparison of the monitoring results with the simulated flow rate of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shows that approximately 30% of rainfall flows into the storm water pipelines in areas with steep slop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eld model experiment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manhole section on the leakage to the steep slope sewer, it has been determined that the magnitude of the impact pressure gradually increases with both the flow rate and slope.
목차
1. 서 론
2. 국ㆍ내외 우수관거 최대유속 설계 기준 현황
3.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한 하수관로 유출모의
4. 급경사지 하수관로 맨홀 안정성 분석
5.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rratum : BS 8414를 적용한 외단열시스템의 건축용접착제 연소확대에 관한 연구
- 해외 원전해체 및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사례연구
- 강-콘크리트 양개형 방폭문의 강재량 결정을 위한 설계 민감도 분석
- 재난관리 조직의 레질리언스 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콘크리트 일탈방호시설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와점성계수를 이용한 토석류 퇴적 형상 수치해석
- 해일하중에 대한 조적조 건축물의 붕괴 침수심 평가
- 스마트 구조물 균열 감지를 위한 1차원 합성곱신경망(1D CNN) 딥러닝을 이용한 파괴 신호 특정 기법
-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Strength of Steel I-Beams under Non-Uniform Temperature Conditions
- 침수 취약지역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 공극 구조의 X-ray microCT 영상화를 이용한 사질토 투수계수 수치적 산정기법
- 드론을 활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지형 특성 분석
- 낙석방지울타리의 부재별 에너지 흡수능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연구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화재인자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대전시 3, 4공단 미세먼지(PM 10 )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 재질별 창호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초고층 주거복합 구조물의 시스템 식별 및 해석 모델 교정
- 공군 소방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자원동원 현황 및 문제점 고찰
- 가뭄대응을 위한 주간단위 강우-유출모형 개발
- 실측데이터와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분석
- Nuclear Emergency Management using Accident Consequence Analysis Code
- 습구흑구온도(WBGT) 추정모델 정확도 및 활용가능성 평가
- 강우조건에 따른 산악지반의 강도 및 함수특성
- 다부처 재해정보의 공동활용에 관한 연구
- 섬유상 여재를 활용한 여과형 시설의 부유물질 제거 및 역세 효율 분석
- ERA-Interim 자료와 결합된 WRF 모형의 호우사상 모의능력평가
- BCMS에서의 BIA와 RA를 위한 Quick-Hit Framework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