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umerical Analysis of the Deposit Shape of Debris Flow using Eddy Viscosit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정석일(Jeong, Seokil) 송창근(Song, Chang Geun) 이승오(Lee, Seung Oh)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9권4호, 65~7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집중호우의 증가는 토석류에 대한 피해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에 따라 정확한 토석류 예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토석류 거동 특성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토석류의 이동에 대한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는 많이 수행된 반면, 상대적으로 퇴적에 대한 연구는 적게 수행되었다. 이에 Urban Debris Simulator (UDS)를 이용하여 토석류 퇴적형상에 대한 정확한 수치해석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 전 과정으로 USGS 토석류 수로를 대상으로 시간간격과 격자크기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적 조건을 도출하였다. 토석류의 퇴적은 비대칭적이고 불규칙하기 때문에, 단일 점성계수를 갖는 유동 모델로 구현하는 것은 쉽지 않다. 천수방정식 기반의 UDS는 텐서형태의 와점성계수를 갖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불규칙한 토석류 퇴적형상을 모의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USGS 토석류 실험수로에서 수행한 실험을 UDS로 재현하였으며, UDS의 와점성계수를 변화시켜가며 퇴적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와점성계수가 제시되었으며, 정확하게 토석류 퇴적 형상이 모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increase in heavy rainfall has led to an increase in damage due to debris flow, and thus, interest in accurate debris-flow prediction has increased. In this regard,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debris flow is necessary. Whereas many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of debris-flow movements, relatively few studies have focused on debris-flow deposits.
Therefore, investigating the possibility of accurate numerical simulation is necessary, and we performed simulation of deposits using Urban Debris Simulator (UDS). Before the simulation of the deposit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derived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of the time step and grid size of the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debris flume. Because the deposit shape of a debris flow is asymmetrical and irregular, reproducing it using the rheological models whose viscosity is in the scalar form is difficult.
The deposit experiments performed in USGS debris flume were reproduced in UDS, which had a tensor-type eddy viscosity, and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nder varying eddy viscosity values. As a result, the optimal eddy viscosity was obtained, and we confirmed that the accurate deposit shape of the debris flow can be simulated using eddy viscosity.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수치해석
4.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rratum : BS 8414를 적용한 외단열시스템의 건축용접착제 연소확대에 관한 연구
- 해외 원전해체 및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사례연구
- 강-콘크리트 양개형 방폭문의 강재량 결정을 위한 설계 민감도 분석
- 재난관리 조직의 레질리언스 역량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콘크리트 일탈방호시설의 구조성능에 관한 실험 연구
- 와점성계수를 이용한 토석류 퇴적 형상 수치해석
- 해일하중에 대한 조적조 건축물의 붕괴 침수심 평가
- 스마트 구조물 균열 감지를 위한 1차원 합성곱신경망(1D CNN) 딥러닝을 이용한 파괴 신호 특정 기법
- Inelastic Lateral-Torsional Buckling Strength of Steel I-Beams under Non-Uniform Temperature Conditions
- 침수 취약지역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 공극 구조의 X-ray microCT 영상화를 이용한 사질토 투수계수 수치적 산정기법
- 드론을 활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지형 특성 분석
- 낙석방지울타리의 부재별 에너지 흡수능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 연구
-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화재인자 표준화에 관한 연구
- 대전시 3, 4공단 미세먼지(PM 10 )의 반복측정 분산분석
- 재질별 창호의 화재위험성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초고층 주거복합 구조물의 시스템 식별 및 해석 모델 교정
- 공군 소방직무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 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재난사례 분석을 통한 자원동원 현황 및 문제점 고찰
- 가뭄대응을 위한 주간단위 강우-유출모형 개발
- 실측데이터와 수치해석모형을 이용한 급경사지 하수도 맨홀 안정성 분석
- Nuclear Emergency Management using Accident Consequence Analysis Code
- 습구흑구온도(WBGT) 추정모델 정확도 및 활용가능성 평가
- 강우조건에 따른 산악지반의 강도 및 함수특성
- 다부처 재해정보의 공동활용에 관한 연구
- 섬유상 여재를 활용한 여과형 시설의 부유물질 제거 및 역세 효율 분석
- ERA-Interim 자료와 결합된 WRF 모형의 호우사상 모의능력평가
- BCMS에서의 BIA와 RA를 위한 Quick-Hit Framework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