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art du recit dans Les Vieilles de Pascale Gautier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 저자명
- 서명숙(Suh Myung-sook)
- 간행물 정보
- 『프랑스문화연구』제39집, 83~1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Comme on le sait, il reste que la vieillesse est un sujet tabou dans la litterature. Malgre cette tendance depressive, Les Vieilles, roman de Pascale Gautier, paru en 2010 a connu un succès exceptionnel pour roman sur la vieillesse. C’est dans ces circonstances que nous nous sommes interroges, dans cette etude, sur la force du roman qui reussit, malgre son sujet lourd et gênant, à attirer l’attention du public. Dans cette perspective, en nous appuyant sur les recherches du Discours du recit de Gerard Genette, nous avons voulu demontrer l’art du recit des Vieilles qui refuse de tomber dans les cliches habituels du roman sur la vieillesse. Ainsi, Nous avons d’abord illustre la construction fragmentaire de l oeuvre qui met en lumière la correlation entre les evenements de l’histoire et la structure du recit. Ensuite, en determinant quelles techniques de narration et de focalisation ont ete mises en oeuvre, nous avons precise quelques aspects du choix narratif de l’auteure : narration simultanee, discours direct, discours direct libre, recit mimetique d’evenements, discours indirect libre, etc. D’après les observations que nous venons de faire, nous pourrions dire que, en jouant sur la structure singulière du recit et sur la technique narrative, l’auteure parvient à eveiller notre interêt sur l’histoire et nous rapprocher des personnages du recit, au point que leur realite nous paraît tragiquement humaine.
목차
1. 머리말
2. 서사 구조
2.1. 서술 구조
2.2. 스토리 구조
3. 서술 시점
3.1 서술의 목소리
3.2. 서술의 초점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징후와 잉여, 시체와 유령 사이의 여성성 -동서양의 흡혈귀 서사를 통해 나타난 여성의 이미지 연구
- 프랑스의 국가와 지역 간 계획계약체계의 개편과 함의
- FLE 문화 교육에서 교수자 질문 구성의 주안점
- 파스칼 고티에의 노년소설 『할머니들』의 서사 기법 연구
- Pour une analyse dynamique des trois figures de style la metaphore, la metonymie et la synecdoque
- 프랑스어 명사의 문법성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외국어교육에서의 학습자의 위상 변화에 관한 연구
- 문화현상으로서의 19세기 프랑스 요리
- 『팡세』의 번역비평과 번역인문학
- 발자크의 죽음, 혹은 근대적 작가의 운명, 그 영광과 비참 (Ⅱ)
- 프랑스어 학습자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스트레스 반응에 관한 고찰
- J. M. Leger의 저서 『사용』에서의 건축이론 고찰
- 전문 용어 정비에 관한 유럽 내 프랑스어권 국가의 언어 법제 비교 연구
- 서술적 이해comprehension narrative에 대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세계관 해석에 근거한 자살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세계관의 심리학』을 중심으로
- 디지털 치료제와 환자의 자율성: 사전동의 과정 재구성을 위한 제언
- 데카르트 윤리학에서 개인의 자유와 상호 존중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