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기록관리정책의 미래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Policy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이영학(Young-Ha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9권 제2호, 215~2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후 10년 동안 기록관리제도는 발전해왔지만, 아직도 현실의 기록관리 수준은 낮은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글은 국가기록관리의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앞으로 국가기록관리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책 추진에 ‘거버넌스’가 행해져야 하며,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이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확보해야 하며, 기록관리시스템의 확산과 고도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다양한 아카이브즈와 작은 아카이브즈들이 많이 설립되어야 하며, 기록관에는 반드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이 배치되어야 한다. 아울러 기록관 운영자들은 자율, 분권, 연대 등으로 서로 협조ㆍ발전해가야 한다.
영문 초록
In 1999, “Records management of public instituition Act was enacted. Since then, records manag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but the level of records management is still low in reality. This article is to present suggestions in policy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To flourish national records management, ‘governance should be performed during policy propulsion and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uld be politically neutral and independent. In addition, records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wide-spread, many different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lso archives should have archivists. Not only that, managers of archives need to cooperate and thrive with autonomy,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and solidarity.
목차
1. 머리말
2. 기록관리와 거버넌스
3. 중앙기록물관리기관의 독립
4. 기록의 수집과 활용
5. 기록관리시스템의 확산과 고도화
6. 기록물관리기관의 활성화
7.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배치
8.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기록관리정책의 미래
- 공공기록물의 이용과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기록물의 역할과 기능
-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 A Study on Government Documents and the Federal Depository Library Program (FDLP) in America
- AHP 방법에 의한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연구
-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