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연구
이용수 68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raisal Criteria of Photographic Record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배은경(Eun-Kyoung Bae) 박주석(Ju-Seok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9권 제2호, 79~10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2.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세기에 발명된 이래 대표적인 이미지 기록 수단으로 사용되어온 사진은 사회의 전 분야에 대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시각적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진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체계적인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국내에 생산 및 축적되어 있는 방대한 양의 사진을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평가업무가 우선적으로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평가는 기록이 지닌 의미와 가치를 판단하는 작업으로, 지속적 가치를 가지는 대상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평가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록학의 평가선별론의 이론적 구조와 사진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사진기록의 평가기준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먼저 사진기록의 개념, 가치 및 평가에 있어서의 특수성에 관한 논의를 정리했다. 다음으로 개별적인 기록의 평가에 이용되는 기존의 평가기준과 사진기록의 평가에 관한 논의에서 제기된 평가기준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사진기록의 평가영역을 범주화하여 설계하고 각 영역별로 평가요소를 제시했다.
영문 초록
Photography has been used as a typical tool of recording image since its invention in the nineteenth century. Photographs provide valuable visual information about all parts of society, and a systematic management must be preceded to use these information. Th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system of photographs shoul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ic medium. It is necessary for many archives to perform appraisal first to collect and manage enormous photographs. Appraisal is the process of determining meaning and value of records, and the reasonable criteria should be needed to carry it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ppraisal criteria for photographic records based on the archival appraisal the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otography. This study draws on traditional appraisal theories and some literatures for archival management of photographs.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section examines the concept and values of photographic records and the distinctiveness of appraising photographs.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existing appraisal criteria for individual records. The third section designs appraisal classes of photographic records and proposes the criteria for each classes.
목차
1. 서론
2. 사진기록의 특성
3.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모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가기록관리정책의 미래
- 공공기록물의 이용과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 민주주의와 인권 그리고 기록물의 역할과 기능
- 아카이브와 박물관의 전시 비교와 개선방안
-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 공공기록관리 정책의 연대기적 검토
- A Study on Government Documents and the Federal Depository Library Program (FDLP) in America
- AHP 방법에 의한 기록연구사의 직무분석
- 한국기록관리학회 편집위원회 규정 외
- 사진기록의 평가기준 연구
-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게임 이용 중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