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불안감소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22
- 영문명
- The effect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on Anxiety Decrease and sociality Improvement of Adolescents with Asperger s Syndrome
- 발행기관
-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다은(Da-Eun KIM)
- 간행물 정보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3권 제1호, 43~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무용/동작심리치료를 통해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불안 감소와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스퍼거 증후군 진단을 받은 K를 대상으로 30회기의 무용/동작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K-WISC-Ⅲ 중 산수, 숫자 소검사와 한국판 아동색 선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K-WISC-Ⅲ 중 차례 맞추기, 이해 소검사와 사회성숙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또한 움직임·동작의 변화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Samuels and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를 활용하여 영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무용/동작심리치료는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불안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인지적융통성이 부족한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작업 기억, 지속적 주의력 및 주의 전환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사회성숙도 하위영역 중 작업, 사회화 영역의 점수(나이)가 향상되었으며 대인관계 예민성 및 사회적 이해 능력, 사회적응상태 또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움직임·동작의 질적 변화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무용/동작심리치료가 아스퍼거 증후군 청소년의 불안 감소와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증명하였으나 단일 사례 연구이므로 일반화하기에는 제약이 있으며, 후속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일반화 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psychotherapy on reducing anxiety and improving sociality in an adolescent with Asperger s syndrome. The study subject K, who was diagnosed with Asperger s syndrome, received 30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nxiety,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arithmetic and numbers in K-WISC-Ⅲ, as well as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ren s Color Trails Test (CCTT). To explore the change of sociality, this study applied arrangements and comprehension in K-WISC-Ⅲ to the study subject, as well as a social maturity test to the guardian to examine the changes. . The videos were analyzedby using the Movement Observation Scale by Samuels and Chaiklin (Levy, 1988).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reduced the anxiety of the adolescent with Asperger s syndrome. Second, dance/movement psychotherapy increased the sociality of adolescents with Asperger s syndrome. Third, when the qualitative change of movement of adolescent with Asperger s disorder was observed through dance/movement psychotherapy program, anxiety was reduced and sociality was impro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ied that dance/movement psycho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anxiety reduction and sociality improvement of adolescents with Asperger s syndrome. Since it is a single case study, generalization is limited and it is needed to generalize its effects through subsequent stud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복합 외상을 경험한 슈퍼바이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연구: 신체심리치료와 현대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친족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치유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경험 사례 연구
- 무용 동작 학습 메타인지 교수:학습 전략 기초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