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놀이의 단계별 특징을 고려한 무용/동작치료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02
- 영문명
-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on Soci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조미성(Mi-Sung CHO) 남현우(Hyun-Woo NAM)
- 간행물 정보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제3권 제1호, 5~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무용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놀이의 단계별 특징을 고려한 무용/동작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사회적 놀이 단계의 1~3단계는 비사회적인 놀이, 4단계는 제한된 사회적 놀이, 5~6단계는 진정한 사회적 놀이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은 다운증후군 6살(여), 자폐성 장애 6살, 8살(남), 지적장애 8살(남) 총 4명의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이며 주 1회 50분씩 총 30회기 무용/동작치료가 진행되었다. 무용/동작치료의 효과 검증은 자기통제력 척도(SCRS)와 상호작용적 또래 놀이 척도(PIPPS)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자기통제력 점수와 또래 상호작용 점수를
회기별로 산출해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두 가지 영역의 점수 변화를 알아봤다. 연구결과는 사회적 놀이의 단계별 특징을 고려한 무용/동작치료가 발달장애 아동의 자기통제력 증가와 또래 상호작용의 증가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 therapy on the increase of social maturity and the reduction of autism symptoms in infa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The subject was autism spectrum infant(3 years old) and the treatmen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10 times using mirroring techniqu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ance therapy, social maturity test(SMS) and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CAR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test.
As a result, we found the increase of social maturity and the decrease of autism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dance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ocial maturity and autism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that dance/movement therapy can actively interven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However, since this study is a single treatment case, many more cases are required to generalize the result.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the verification of the statistical effect of this ca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무용분야 BEST
- 복합 외상을 경험한 슈퍼바이지의 역량 강화를 위한 슈퍼비전 연구: 신체심리치료와 현대정신분석 이론을 중심으로
- 친족 성폭력 피해 청소년의 치유를 위한 무용동작치료 경험 사례 연구
- 무용 동작 학습 메타인지 교수:학습 전략 기초 연구
예술체육 > 무용분야 NEW
-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제9권 제1호 목차
- 집단무용/동작심리치료사의 자기개방이 치료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 교육복지대상아동의 자기표현과 관계성향상을 중심으로
- 음악적 동작 중심의 집단 음악치료가 경도 지적장애 청소년의 자기 표현력 및 사회적 기술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