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버지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이용수 582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the Father’s Belief of Play, Father’s Rough-and-Tumble Pla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정선영(Sun-Young JEU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6권2호, 191~20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간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196명의 유아와 아버지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아버지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살펴보았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입력’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아버지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발적인 놀이를 지지하는 아버지 신념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관심 정도, 필요성 및 가치에 대한 인식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ther’s belief of play, rough-and-tumble pla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s analysis subjects for this study, 196 young children’s and their fathers from the daycare centers in D city were participated. To analyze the data of this study, spss 23.0 program was us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study,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nducted, and to find out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riables, En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n this study: First, father’s belief of play, rough-and-tumble play, an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have some degrees of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themselves. Second, father’s play-based support belief of play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ather’s Rough-and-tumble play had positive effect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기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지 6권2호 목차
- 가정폭력피해여성과 일반기혼여성의 의사소통, 성적 친밀감, 인생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 아버지의 놀이신념,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인식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 한국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심리적·사회 환경적 요인의 효과
-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스마트폰중독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가족기능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와 공적자의식의 조절효과
- 군 장병의 정신건강 영향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 이론 중심으로 영화‘ 다우더’분석 -
- 근거중심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노인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일반어린이집 장애위험영유아 보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과 요구
- 여자 대학생의 안정 성인애착과 외모수용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직관적 섭식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