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 이론 중심으로 영화‘ 다우더’분석 -

이용수  1,933

영문명
A Study on the Child and Youth′ Depressive disorder & Personal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movie‘ Daudor’ based on the theory of D. W. Winnicott-
발행기관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저자명
권영(Young KWON)
간행물 정보
『상담심리교육복지』6권2호, 7~3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문제의 요인으로 부모의 정서적·신체적 학대 및 강박적, 과보호와 방임적 양육환경에 주목하였다.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환경은 아동·청소년에게 정서적·심리적인 불안과 우울증, 대인관계 문제 등 여러 영역에까지 연속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사례는 아동· 청소년기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문제 및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환경이 잘 드러나는 영화‘ 다우더’의 내용을 사례화 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Miles 와 Huberman(1994)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사례의 주요장면별 대화내용 분석을 통해 인물별 심리적 특성과 Winnicitt의 대상관계 및 Wiggins의 대인관계 성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부모의 부정적인 언어와 행동으로 나타나는 심리적·행동적 특성과 부정적인 정신건강 측면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는 딸에게 부모로부터의 정서적·신체적 학대와 낮은 자존감, 결핍된 인격으로 인한 우울증과 대인관계 문제의 준거틀로써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부모의 부정적 양육환경과 대상관계는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세 가지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함의는 부모의 양육환경과 부모-자녀의 대상관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필요성을 강조함에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the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and obsessive, over-protective and lax parenting environments as factor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negative parenting environment can be a direct cause of negative impact on many areas, including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examples of this study were studied by illustrating the story of“ Dawder,” a film that shows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negative parenting conditions. Using the network method over time of Miles and Huberman (1994),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haracter, Winnicitt’s target relationship, and Wiggins’ interpersonal tendency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by major scene of the case. As a result of the study, categories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negative mental health aspects of parents’ negative language and behavior were derived, This shows that the daughter is acting as a basis for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from her parents, low self-esteem, depression caused by her deficient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other words, the parents’ negative parenting environment and the target relationship were confirmed to have a profound effect on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hree roles required by the counselor are presente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o emphasize the need for a correct recognition of the parent’s care environment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영(Young KWON). (2019).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 이론 중심으로 영화‘ 다우더’분석 -. 상담심리교육복지, 6 (2), 7-33

MLA

권영(Young KWON). "아동·청소년의 우울증과 대인관계 - D. W. Winnicott의 대상관계 이론 중심으로 영화‘ 다우더’분석 -." 상담심리교육복지, 6.2(2019): 7-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