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Use of and Satisfaction with Essential Oils among Adult Women in Busan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유채목(Chae-Mok Yu) 김민정(Min-Jeong Kim) 문덕환(Deog-Hwan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2호, 35~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and develop a plan for the use of essential oil in a diverse and safe fashion after investigating how much adult women in Busan have used essential oil and how much they are informed about and satisfied with it.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In terms of the current use of essential oil, the time of first us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time of use also showed a differ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y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Storage of oi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the number of oil bottles use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and occupation. Regarding the degree of liking essential oil,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background.
In terms of inquiries from acquaintances regarding the use and purchase of oi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y marital status. When asked about issues to be improved upon and the experience of side effect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y occupation. User satisfaction increased as age became higher. In sum, in terms of the primary purpose of using essential oils, ‘to relieve stress’ had the greatest response rate. When asked what should be improved, ‘provision of accurate information’ was most respond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ssential oils to reduce stress. It appears that user satisfaction could be enhanced with some measures such as granting of an opportunity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essential oils in a more proactive mann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맞춤 색조화장품에 대한 구매 심리와 만족도 연구
- 안토니오 가우디 작품을 응용한 헤어커트 도해도 연구
- 미용학원의 관계마케팅 요인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광주⋅전남 미용학원을 중심으로
- 곡선 가위를 사용한 헤어 커트 디자인 연구
- 헤어 미용사의 과실과 고객 보호에 관한 연구
- 의미 네트워크를 활용한 바디아트 트렌드 분석 연구
- 미용전공 여대생과 비전공 여대생의 두피․모발에 대한 인식과 두피․ 모발 관리실태
- 미용업 경영자의 인구사회통계학적 특성과 경영관리능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미용교육 참여행동 요인 분석
- 부산지역 성인여성들의 아로마 오일에 대한 사용실태 및 만족도
- 중년남성의 젊음추구 및 외모관심이 미용성형에 미치는 영향
- 화장품 소재로서 세발나물 추출물의 생리활성 연구
- 중국여성의 메디컬스킨케어 인식이 메디컬스킨케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오페라<카르멘> 주인공 배우의 분장색채와 관객들의 감성이미지 분석
- SNS 뷰티서비스 정보특성이 정보만족, 구전의도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서비스종사자의 리질리언스(resilience)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하체경락마사지가 지간백선에 미치는 영향
- 네일 기법을 응용한 인테리어 소품 디자인 연구 :네오고딕 건축양식을 중심으로
- 국내 화장품 앱의 GUI 요소에 관한 사례분석 연구 :아모레퍼시픽과 엘지생활건강 모바일 브랜드 앱을 중심으로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메이크업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