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동산감정평가에 있어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기준
이용수 189
- 영문명
- Standards to Determine Compound and Appurtenance in Real Estate Appraisal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서경규(Seo, Kyung Kyu)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51호, 81~1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부동산의 감정평가에 있어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나, 그동안 관련 연구가 미진하여 감정평가활동에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는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기준을 제시 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지의 부합물 판정기준으로는 부합하는 물건이 건물인지 여부, 분리가능 여부, 타인의 권원에 의한 부합 여부가 있다. 둘째, 건물의 부합물 판정기준으로는 독립된 물건인지 여부, 분리가능 여부, 타인의 권원에 의한 부합 여부가 있다. 셋째, 종물의 판정기준으로 독립된 물건인지 여부, 소유자의 동일성 여부, 주물의 상용에 이바지
하는지 여부가 있다.
본 논문이 관련 연구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하고 나아가 감정평가활동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 기대한다.
영문 초록
To determine compound and appurtenance in real estate appraisal is very difficult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difficulties in appraisal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related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ndards to determine compound and appurtenan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s to determine of the compound of land is whether the compounding things are buildings, the compounding things can be separated, the compounding things are by another’s title. Second, the standards to determine of the compound of building is whether the building is independent or not, the compounding things can be separated, the compounding things are by another’s title. Third, the standards to determine the appurtenance is whether the thing is independent or not, the owner is same, the appurtenance contributes to the utility of main thing.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the relevant study and be used as the base data for appraisal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방법
2. 선행연구의 검토
Ⅱ. 부합물과 종물의 의의
1. 개념과 법적 효과
2. 관련문제
3. 부합물과 종물의 사례
Ⅲ.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기준
1. 판정절차
2. 부합물의 판정기준
3. 종물의 판정기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기술창조인재 선호입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51호 목차
- 은퇴 후 주거선택 요인과 은퇴자마을 거주의향 분석
- 점유형태에 따른 가구의 주택자산효과 비교분석
- 규모별 주택 가격 상승률의 상호 관계 분석
-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의 업무에 대한 부당간섭에 관한 연구
- 귀농인의 정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부동산개발사업시 상품가치 평가항목에 대한 실증분석
- 서울시 오피스의 공실률 변동에 대응한 임대료 조정
- MST기법을 활용한 토지시장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 부동산감정평가에 있어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기준
- 다세대주택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