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세대주택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Factor for the Purchase of Multiplex Housing
- 발행기관
- 대한부동산학회
- 저자명
- 이영미(Lee, Young Mi) 서진형(Seo, Jin Hyeong) 이춘원(Lee, Choon Won)
- 간행물 정보
- 『대한부동산학회지』제51호, 5~2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내 경기 악화와 급등하는 아파트 가격은 서민들의 주거생활안정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주거비에 부담을 느낀 서민들은 주거비가 저렴한 다세대주택을 찾게 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세대주택 거주자들을 상대로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세대 주택을 선택했을 때 어떤 요인들을 우선으로 선택해 살고 있는지와 거주하면서 느끼는 주거
만족도는 어떠한지 그 요인들이 구매선택요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실증분석결과 다세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았으며 고학력일수록 내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다세대주택의 내부적 요인이 개선됨에 따라 학력에 구분없이 생활안정을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외부적 요인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으며 남
성보다 여성이 사회·경제적 요인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다세대주택의 주거만족도는 사회·경제적요인, 외부적요인, 내부적요인 순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사회·경제적요인의 가격, 위치, 관리비 저렴, 직장과의 거리·교통, 생활안정 등은 주택수요자들이 다세대주택을 구매할 때 중요한 구매선택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domestic economic downturn and rapidly rising apartment price are enormously influencing the stabilization of the housing for the ordinary people and have become the reason the ordinary people, who feel burdened by the housing price, look for inexpensive multiplex housing.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the factors that primarily concerned them when they chose multiplex housing, the housing satisfaction they feel while living in the multiplex housing, and how such factors influenced the determination factor for the purchase of the multiplex housing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socioeconomic factors, more satisfied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more satisfied with the internal factors when the residents had higher education, and this indicated the tendency of giving priority to stable living alongside the improvement of internal factors of the multiplex housing regardles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satisfaction with external factors was higher when the period of living was shorter and women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men with socioeconomic factors. The residents of multiplex housing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followed by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in respective order.
Therefore, it is deemed that the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the price, location, low maintenance fee, distance to work, transportation, and stable living act as important determination factors for consumers when they are purchasing the multiplex hous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차별성
1. 이론적 고찰
2. 차별성
Ⅲ. 연구 설계
1. 연구 조사 개요
2.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신뢰도 검증
2. 다세대주택 거주자의 일반적 특성
3. 다세대주택 주거만족도
4. 연구 분석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기술창조인재 선호입지의 중요도-만족도 분석(IPA)
- 대한부동산학회지 제51호 목차
- 은퇴 후 주거선택 요인과 은퇴자마을 거주의향 분석
- 점유형태에 따른 가구의 주택자산효과 비교분석
- 규모별 주택 가격 상승률의 상호 관계 분석
- 공동주택 관리사무소장의 업무에 대한 부당간섭에 관한 연구
- 귀농인의 정주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부동산개발사업시 상품가치 평가항목에 대한 실증분석
- 서울시 오피스의 공실률 변동에 대응한 임대료 조정
- MST기법을 활용한 토지시장의 네트워크 구조 분석
- 부동산감정평가에 있어 부합물과 종물의 판정기준
- 다세대주택 구매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