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르데코 예술 양식을 모티브로 한 특수 머리 스타일 작품 연구
이용수 177
- 영문명
- Analysis of Special Hairstyles Using Art Deco Pattern as Motif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오명식(Myung sik Oh) 이재숙(Jae s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0권 제1호, 211~2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odern times, a individual’s personality is particularly emphasized so that a unique and distinctive aspect can be a great element. For example, art deco trends and styles were applied to diverse aesthetic fields and brought changes across society including art, handicraft, architecture, automobile and living. These art deco styles, which pursue functional and linear beauty while embracing past tradition, have given inspiration to various hairstyles as well as to many modern industri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special hairstyles with an art deco style as a motif,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unique, creative styles were created based on simple, geometric art deco figures and patterns, using dreadlocks and cornrows. Second, unique, creative styles were created based on simple, geometric art deco figures and patterns using afro-perms and cornrows. Third, unique, creative styles were created based on exotic art deco figures and patterns using a braiding technique. Fourth, unique, creative styles were created based on fancy and ornamental art deco buildings and pictures using hair extensions. As a result, this study has created creative styles by applying art deco trends, architecture, handicraft, pictures and patterns to hair. It’s anticipated that there would be continued studies on diverse techniques and styles for the reinterpretation of formative art deco features and styles in modern hairstyling techniques. It’s also expected that such new attempts and technique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 hairstyl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재료 및 연구방법
Ⅳ. 작품제작 및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뷰티서비스종사자의 블랙컨슈머 행동지각이 직무소진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복부관리요법이 삶의 질 및 신체상(Body Image)에 미치는 영향
- 헤어미용사의 전문성과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라포형성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대생의 화장품 소비성향이 구매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여성노인의 외모관심이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들의 한국 화장품 선호도 및 브랜드 선호도
- 네일 제품 전성분표시의 법적 허용 범위 및 법 규제에 관한 연구
-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헤어 미용사들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의 평균차이에 관한 연구
- 피부 관리실의 LMX가 직무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후기와 에도 기생의 두발양식과 장신구에 나타난 조형성 분석
- 피카소의 큐비즘 표현기법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학습몰입이 진로자기효능감, 교육만족도, 수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메디컬 스킨케어 종사자의 직무 수행도와 난이도 분석
- 아르데코 예술 양식을 모티브로 한 특수 머리 스타일 작품 연구
- 4차 산업시대의 네일아트 연구
- 미용실의 관계자산이 고객감정반응 및 고객만족도 간의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 연구
- 포토그래메트리와 3D 프린터를 활용한 특수분장 디지털 작업에 대한 가능성과 유용성
- 퍼스널 네일 컬러 진단에 따른 네일 컬러링 일치도가 신체 이미지 변화 인지와 네일 컬러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쑥좌훈요법이 체지방 감소 및 신체미(美) 개선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활용한 체험마케팅이 중년여성의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