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여성 만학도의 성장욕구와 자기실현 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161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the Middle-Aged Female Students’ Desire for Growth and Self-Real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계순(Gyesoon Kim) 김명찬(Myeongchan Kim)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5권 제1호, 109~13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남존여비의 가부장적 사회 관습과 빈곤으로 인해 배움의 기회를 박탈당했던 중년여성의 끊임없는 성장욕구를 통해 전업주부에서 전문 강사로 전환되는 자기실현의 과정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중 하나인 자문화기술지 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화, 회상 자료, 자기 관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료를 코딩하고 분석하여 ‘성장의 지연’, ‘성장의 시작’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첫째, 중년 여성 만학도가 배움의 기회를 가질 수 없었던 자신의 환경을 수용하고 그로 인한 배움의 가치와 욕구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었다. 둘째, 중년여성 만학도의 성장욕구를 통해 자기실현 과정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중년여성 만학도의 배움 동기와 성장욕구를 세밀하고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자기실현 과정을 고찰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중년여성 만학도 대상으로 상담하는 장면에서 그들이 좌절하지 않고 자신감을 가지고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도우며 성장하고자 하는 자기실현을 위한 의미를 제공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a middle aged student from a housewife to a professional instructor by learning the desire for continuous growth a women who missed opportunities for learning due to patriarchal social customs and pover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adopted one of the qualitative
methods, the auto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and collected data through conversations, recollections, and self-observa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Th rough coding and analyzing of the data, the research results were defi ned in two themes of ‘delayed growth’ and ‘start of growth’. Th 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middle-aged female students came to be able to accepting their environemnts in which they could not have a chance to learn and clearly recognize the value of learning and their desire for it. Second, they were able to learn the self-realization process through the desire for growth of a middle-aged woman student. Th is study is meaningful
as it looked deep into the process of self realization of a middle-aged women student by identifying motivation of learning and desire for growth and in the counseling, it helped them to continue with their education with confi dence.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