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산 안창호의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 특성 연구
이용수 192
- 영문명
- The characteristics of Dosan, Ahn Chang Ho’s Self Leadership and Super Leadership
- 발행기관
- K-콘텐츠학회(구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 저자명
- 최청평(Choi, Chung-Pyung)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리더십연구』5권 2호,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02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도산 안창호(1868-1938)는 18세에 서재필의 독립협회 가담(1886년)을 시작으로 모든 독립투쟁을 전개하면서 끊임없이 인재양성 사업에 심혈을 기울였다. 청년 도산은 구한 말사학의 효시인 점진학교(1899년)와 대성학교(1907년)를 설립 운영하였으며, 일제의 조선합방 전까지 청년학우회를 창립(1909년), 청년인재 양성에 착수하였고, 미주의 간호양성소(1919년) 와 비행훈련학교(미주, 1920년), 중국에서의 신흥문관학교(1922년), 동명학원(1924년)등의 인재육성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특히 도산은 1913년 미주에서 흥사단(1913)을 창단하고 중국의 원동위원부(1920)를 설치한다. 이는 당시 나라를 잃어 민족의 교육기관이 부재한 상황에서 독립운동과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청년엘리트와 청년민족지도자를 육성하려는 교육 훈련사업으로 독립운동기의 대표적인 인재양성 사업이었다.
도산의 인재양성사업의 리더십은 리더십이론인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과 정확히 일치 하는 사례임을 주목하게 된다. 도산이 흥사단 운동 등에서 보여준 수퍼리더십의 면모와 셀프 리더의 양성사업은 치열한 독립운동, 독립투쟁의 전 행보 속에서도 치밀한 계획과 준비를 갖추며 끊임없이 지속적으로 병행하고 있었다. 그가 양성한 인재들은 당시의 독립운동가로 서는 문론 해방 후에는 독립국가 건립의 중심적인 주력인력으로 활약하였다. 도산의 리더십 특히 그의 수퍼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의 특성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 우리 국가사회의 중심 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교육하는 대업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t the age of 18, Dosan Ahn Chang-ho (1868-1938) began independence struggle with Seo Jae-pil s independent association (1886). Even during the independence struggle, Dosan has been constantly engaged in the training of talented people. Under the Japanese invasion, Young man, Dosan established the Jeomjin School (1899) and the Daesung School (1907), which were the preliminaries of the private school, and founded the Young Korean Academy as a youth school society(1909). He also continued to develop human resources in the Americas, such as nursing schools (1919), flight training schools(Americas, 1920), emerging Shinheung-Municipal Schools(1922) and Dongmyung Academy(1924)in China.
In particular, Dosan established the Heungsadang(1913) in the Americas and established the Won Dong Branch (1920) in China. At that time, Chosun had lost its country and there was no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Dosan embarked on an education and training project aimed at fostering youth erit and youth leaders for independence struggle and construction of an independent country, and this was a representative talent training program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talented people he cultivated acted as a central manpower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country after liberation with the independence activists of that time. The characteristics of super leadership and self -leadership in Dosan are very likely to suggest to the cause of educating and educating the central talents of our nation s society toda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도산의 독립투쟁에 투영된 셀프리더십과 수퍼리더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Editorial] Management Insight Review: A New Platform for Insightful Scholarship
- Shaping Ethics at the Top: How Team Mental Models Influence Top Managerial Behavior
- The Impact of AI Adoption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Operational Efficiency in Indonesian Small Business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