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타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지속성 분석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Study on the Effect Persistence of Star-leadership Program
- 발행기관
- K-콘텐츠학회(구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 저자명
- 윤천성(Youn, Chun-Sung) 김영규(Kim, Yeong-Kyu)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리더십연구』5권 2호, 139~1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2.02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아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인 스타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지속성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3일간(1일 8시 간) 교육을 진행하고 교육 참여자 23명을 대상으로 검증을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자아개념(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측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교육 전⋅후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효과지속성 검증을 위해 교육 종결 후 9주 뒤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타리 더십 프로그램이 자아개념(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향상 시켰으며, 추후검 증에서 향상된 효과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자아정체감과 자기효능감의 경우 감소 추이를 보이는 반면 자아탄력성은 증가 추이를 나타냈다. 둘째, 스타리더십 프로그램이 전반적인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 시켰으며, 추후 검증에서 추가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별로 보면 인식의 차원에 해당하는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 자아수용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 9주 뒤에 추가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위가 요구되는 자율성, 환경통제력, 삶의 목적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검증에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스타리더십 프로그램이 자아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고 이를 유지하는데 유용 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말미에 의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TAR Leadership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23 research subjects were educated for 8 hours every day for 3 days in total.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that measured self-concept(ego-identity,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lso, the further test was conducted after 9 weeks since the education was completed to verify whether the effect laste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shown below. First, STAR Leadership Program increased the self-concept(ego-identity,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also, the increased effects lasted in the further test. Specifically, the ego-identity and self-efficacy seemed to decrease, while the ego-resilience increased. Second, STAR Leadership Program increas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generally and also, there’s additional increase in the further test. When it came to sub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ndividual growt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 and self-acceptance which are level of recognition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also, there’s additional increase after 9 weeks. The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and purpose of life which required behavior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effective and moreover, there’s additional increase in the further test.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STAR Leadership Program was found as effective to increase and maintain the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u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측정
IV. 연구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