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天皇制国家の二重の裂け目 -新聞連載で心
이용수 83
- 영문명
- Two Cracks of the Empire State System -Rereading Natsume Soseki’s Kokoro as a serial novel in Tokyo Asahi Shimbu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郭東坤(Kwak, Dong-kon ┃)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31輯, 39~6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2.28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atsume Soseki s Kokoro, which was published serially in the Tokyo Asahi Shimbun from April 20, 1914 to August 11 of the same year, had a narrative structure that reminded readers of the illness, death, and funeral of Emperor
Meiji that had occurred two years before. At that time the newspapers gave enormous coverage to these events, which became a major national story. In addition, the death of General Nogi, who committed suicide on the day of the
Emperor s funeral, was a shocking event that had national repercussions. In Kokoro, the deaths of the Emperor and his subject Nogi are echoed by the deaths of the two patriarchs, Sensei and the narrator’s father. This encouraged
readers to recall the recent deaths of the Emperor and Nogi, enabling them to reconsider those events. This paper examines the strategy the novel adopts to achieve this and its politics of memory, and reveals how it evoked in contemporary readers the past deaths of the Emperor and Nogi.
목차
Ⅰ. はじめに
Ⅱ. 新聞連載小説としての [心こゝろ]
Ⅲ. 天皇の身体と<想像の共同体>>
Ⅳ. 「尿毒症」と天皇の自然的身体
Ⅴ. 拮抗する「殉死」と「厭世」
Ⅵ. 天皇と帝国大学
Ⅶ. 終わりに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람하는 그로테스크 신체 묘사의 불온성: 에도가와 란포 『애벌레(芋虫)』의 전복된 젠더
- 러일전쟁기 일본육군의 대러시아 작전 계획과 사할린 점령 문제
- 深沢七郎文学のアイロニー構造と 戦争批判 『笛吹川』「異説太閤記」を中心に
- 전후 일본인의 ‘업루티드’(uprooted)된 정체성과 혐한(嫌韓)의 감정적 원천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의 『만엔 원년의 풋볼』(万延元年のフットボール)을 중심으로
- 일본 선진국 담론의 개념과 특징 -일본신문 사설 분석을 중심으로
- 일본 근세 지식인의 ‘풍경’ 인식 고찰 :스즈키 보쿠시(鈴木牧之)의 『호쿠에쓰셋푸(北越雪譜)』를 중심으로
- 三島文学における男性同性愛 女性登場人物の支配力をめぐって
- 脱冷戦期日本と南北朝鮮の歴史和解 推進要因に関する分析
- 한국과 일본의 싱글이코노미 특성 비교
- 『細雪』の中の戦争 -蒔岡家を囲む外国人との交流を通じて
- 天皇制国家の二重の裂け目 -新聞連載で心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지역학분야 NEW
- 공생으로부터 출발하는 공감을 위하여: 들뢰즈의 <이것임>, D.H. 로렌스의 <함께 느낌>, 그리고 <노란봉투 캠페인>
- 신경과학적 공감탐구
- 레비나스에게서 초월 : 하늘의 지혜를 이 땅에서 실현하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