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통사적 복잡성 연구 - 한국어 문어 숙달도 측정 지표로서의 적절성 -

이용수  199

영문명
A Study of Interlanguage Syntactic Complexity of Korean Learner: the relevance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measuring indicators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저자명
주우동(ZHU YUTONG)
간행물 정보
『국제한국어교육』제4권 제2호, 249~27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우동. 2018.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통사적 복잡성 연구: 한국어 문어 숙달도 측정 지표로서의 적절성. 국제한국어교육 4(2). 249-274. 이 연구는 학습자의 구문적 복잡성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찾기 위해 한국어 통사 구조에 맞춰진 T-unit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텍스트를 분석했다. 그 결과는 거의 모든 지표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보였다. 그 중에서 문장 당 절 수, 문장 당 단어 수, 무오류 문장 당 단어 수, 복문 비율, 문장 당 대등절 수, 문장 당 내포절 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적 숙달도를 판별할 수 있는 유효한 지표로 검증 되었다. 그리고 국적에 대한 분석 결과는 일본어권 학습자들은 중국인 학습자들보다 전체적으로 문장을 복잡하게 쓰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중에서 중급과 고급에서는 모두 문장 당 절 수, 문장 당 종속절 수, 문장 당 내포절 수가 더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연세대학교)

영문 초록

ZHU YUTONG. 2018. A Study of Interlanguage Syntactic Complexity of Korean Learner: the relevance of korean writing proficiency measuring indic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4(2), 249-274. This study analyzed Korean Language learners writing text using T-unit analysis measure that was adapted to Korean syntactic structure in order to find out adequate measures for learners syntactic complexity. The result appeared almost all measures to be increased significantly. Among thos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no-error sentence, the proportion of complex sentence, average number of coordinate clause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embedded sentence per sentence might be the best measures of syntactic complexity. And the results on nationality i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clauses per no-error sentence, average number of words per clauses, the proportion of no-error sentence, average number of coordinate clause per sentence, average number of embedded sentence per sentence. (Yonsei University)

목차

1. 머리말
2. 통사적 복잡성 측정 및 선행연구
3. 연구 자료 및 방법
4. 연구 결과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우동(ZHU YUTONG). (2018).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통사적 복잡성 연구 - 한국어 문어 숙달도 측정 지표로서의 적절성 -. 국제한국어교육, 4 (2), 249-274

MLA

주우동(ZHU YUTONG).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통사적 복잡성 연구 - 한국어 문어 숙달도 측정 지표로서의 적절성 -." 국제한국어교육, 4.2(2018): 249-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