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말 조음·음운평가-2 (U-TAP2) 개발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이용수 1,252
- 영문명
-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for the Development of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2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영태(Young Tae Kim) 박희영(Heeyoung Park) 강진경(Jin Kyong Kang) 김정아(Jung A Kim) 신문자(Moon Ja Shin) 김수진(Soo-Jin Kim) 하지완(Ji-Wan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3. no.4, 959~9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만 2세 후반에서 7세 아동의 조음음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현재 개발 중인 U-TAP2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서울과 경기, 충청도,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에 거주하는 아동 616명(예비검사 30명, 규준검사 616명)을 대상으로 U-TAP2 검사를 실시하였다. 타당도의 검증을 위해 내용타당도와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발달적 타당도를 평가하였고, 신뢰 도의 검증을 위해 문항내적일치성 신뢰도와 반분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내용타당도는 단어수준에서 평균 4.52점, 문장수준에서 평균 4.49점으로 검사내용의 적절성이 ‘약간 그렇다’로 평가되었고,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자음정확도와 주요 측정치 간의 구인타당도 또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U-TAP2와 U-TAP1의 측정치 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 공인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단어와 문장 수준의 자음정확도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발달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단어와 문장 수준의 문항내적일치성 신뢰도, 반분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논의 및 결론:
U-TAP2는 조음음운 능력을 평가하는 공식적인 검사도구로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편이며, 조음음운 능력의 발달적 특성 및 추이를 파악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2 (U-TAP2). U-TAP2 has been developed to assess 2- to 7-year-old children’s phonological ability. U-TAP2 consists of two levels: word and sentence. Methods:
Six hundred and sixteen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content validity, a 5-scorescale was used for each item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erved as assessors. The correlations among measured variables—U-TAP percentage of correct consonants (PCC), PCC, phonological mean length of utterance (PMLU), proportion of whole-word proximity (PWP), proportion of whole-word correctness (PWC)—were analyzed for construct validity.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or content validity, the mean scores of word and sentence levels were 4.52 and 4.49, respectively. For concurrent valid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sults of the U-TAP2 and the U-TAP was calculated. It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PCCs of word and sentence level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was greater than .9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also significantly hig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U-TAP2 is a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 tool for children’s phonological ability and that it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analyz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bilities and in intervening the children who have phonological problem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세 말늦은 아동의 7세 언어발달 및 학교수행력 종단연구
- 초기아동기(유아기)에서 노년기까지 전생애 구문 능력 발달: 대화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 언어재활사의 음성피로 및 음성과 관련된 삶의 질
- 요르단과학기술대학교 의사소통장애 전공 학생의 말더듬 및 말더듬는 사람에 대한 태도 연구
- 혀 강도가 뇌성마비 아동의 말 산출에 미치는 영향
- 순수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 간 단어빈도 및 조음복잡성에 따른 어휘인출능력 비교
- 초등학교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위험 아동의 연결어미 인식 능력
- 말늦은 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의미 연결성의 차이
- 음독과 묵독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발달 특성
- 학령전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증거성 표지 이해 특성
- 한국어 분석에 적용 가능한 단위 연구: 학령기 아동의 구어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인 화자에서 새로운 버전의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적용
- 우리말 조음·음운평가-2 (U-TAP2) 개발을 위한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 12-30개월 아동의 초기 어휘에 나타난 음운 특성
- 인공와우이식 아동의 음성 정서 인식
- 모음과 연결발화에서 캡스트럼 음향 지표의 정상 및 음성장애 예측
- 구개성형술 이후 양측 구순구개열 아동의 말 산출 능력
- 음운 인출 및 배열 처리능력 평가를 위한 무의미 음절 따라말하기 검사의 개발 및 적용
- 언어치료를 위한 발달재활서비스 이용 현황 및 지원금의 적정성 연구: 부모를 대상으로
- 순차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청년의 기능적인 듣기 수행력
-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 환자 담화의 전체통일성 분석 및 관련 인지기능
- 시선 추적기를 활용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읽기 이해력과 읽기 처리과정 연구
-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 노년층 삼킴 평가 프로토콜의 내용타당도
- 음성장애 선별검사 도구로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음성 녹음의 임상적 유용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