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울시 소매용 부동산의 층별 효용 비율 분석
이용수 48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Utility Ratio per Floor of Retail Property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고현림(Ko, Hyun Rim) 신종칠(Shin, Jong Chil)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住居環境 제16권 제3호 (통권 제41호), 163~816쪽, 전체 65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40,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utility ratio per floor is not only used to estimate the price or rent of a condominium unit and compensation appraisal, but also is a significant indicator in calculating the standard of assessment of the price announcement system for non-residential propertie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utility ratio per floor statistics, the current utility ratio per floor statistics provide a single indicator by commercial districts and region, making it impossible to close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 properties.
This study analyzes the utility ratio per floor using rent data of retail properties in Seoul.
Especially, this study performs the multi-level analysis including the building level and commercial district level to consider the effects of the hierarchical influencing factors on the rent. After this study analyzes the utility ratio per floor of total sample using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it also performs sub-sample analysis to compare the utility ratio per floor patterns of sub groups divided by gross leasable area and elevator installment.
As a result, the study confirms that the utility ratio per floor generally tends to decrease from the first floor to the upper floors. This study discovers sub groups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patterns of the utility ratio per floor. The buildings with elevators show the higher the utility per floor compared to those without elevators. The utility ratio per floor of buildings with large gross leasable areas is higher in the upper floors than buildings with small gross leasabl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opposite results come up in the lower flo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예방을 위한 단위세대의 현관문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고속철도역세권 도시재생 관광사업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소매용 부동산의 층별 효용 비율 분석
- 노후산업단지 경쟁력강화사업을 통한 산업단지 재생계획의 효율적 추진전략 분석
- 신탁부동산의 임대차 관계에서 임차인의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 임대차보증금 반환의무를 중심으로 -
- 용적률 활용이 중소형 빌딩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고령자가구의 자산구조와 자산효과
- The Effect of Transportation Policy Changes on Retail Market Trade Area Dynamics
- 니시자와류에(西沢立衛) 건축의 비물질적 표현 특성
- 고속철도개통에 따른 역세권 지가변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울산역․김천구미역․신경주역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Residential Satisfaction in Different Income Brackets
- 인터넷마케팅활동이 부동산 중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공임대주택 단지 내 사회적 기업의 공급실태 및 입주업체 특성 연구
- 소비심리와 주택매매가격이 경매낙찰가율에 미치는 영향
- 태풍에 의한 건축물의 재해 패턴 분석
- 아파트 커뮤니티가 주거만족도 및 지속거주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공공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상업용지의 공급가격과 낙찰가격 비교연구 -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