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26
- 영문명
- The Effect on Housing on Health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학회
- 저자명
- 김승연(Seung-Yun, Kim) 김세림(Serim, Kim) 이진석(Jin-Suk, Lee)
- 간행물 정보
- 『보건과 사회과학』제34집, 109~1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거환경의 물리적, 사회경제적 특성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주거 특성과 건강수준이 포괄적으로 조사된 한국복지패널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관적 건강인식상태와 만성질환 여부, 우울감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거의 물리적 특성은 거주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만성질환 여부, 우울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주택에 거주하는 인원이 과밀하거나 적절한 주택설비를 갖추지 못한 경우 또는 열악한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주거의 경제적 특성 역시 거주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상태, 만성질환 여부, 우울감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자가 주택을 소유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지역사회 참여가 높고, 자녀들의 학업성취도나 심리적 안정에 기여하기 때문에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주거는 개인의 생활에 밀접한 환경요소로 개인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 주거점유형태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 역시 개인의 건강수준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특히, 정부에서 제시한 주거 면적이나 필수설비 기준, 구조·성능 및 환경 기준이 최소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주거환경은 건강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주거의 시설이나 구조·성능과 같은 물리적 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현재 정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최저주거기준’에 반영할 수 있다는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the physical status and the economic qualities of housing affect individuals’ health. The health of individual was evaluated by three aspects: the self-perceived level of health, chronic diseases, and depression. To verify the effect of housing on health,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7th Korea Welfare Panel Study using the dichotomous logistic regression.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 physical status of housing affects the self-perceived level of health, whether getting the chronic disease, and whether getting the depression. That is, Over-crowded housing, lack of proper amenities, and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level of health. Second, the economic qualities of housing affect all three aspects of heath as well. It suggests that the families who live in their own houses healthier than who not live in the own one, because they participate more easily in community activities; children get better academic performance in school; or the members are emotionally more stable than the families renting houses.
The result shows that the housing affects the health of individuals as a environmental factor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ir life. Especially, the housing tenure, as a socioeconomic factor, has direct or indirect effects on the health of individuals. Besides, the housing under Minimum Housing Standard which is suggested for the quality of amenities, structures, its efficiency and environment by Korean government has negative effects on the health.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living space, amenities, structures, or its efficiency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Minimum Housing Standard proposed recently by the Korean govern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고찰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건과 사회과학 제34집 목차
- 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 낙인 및 감염인 차별
-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활동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대학신입생들의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시군구 지역의 결핍수준과 기대여명의 변화, 2000-2011
-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시ㆍ군ㆍ구 단위 지역사회 심뇌혈관 질환 표준화 사망률과 관련 요인 분석
- Gender-specific Bullying Dynamics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vs. Bilateral
- 자살예방과 생존자 치유를 위한 의료종교학적 접근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