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이용수 1,193
- 영문명
- Analysis of unmet medical need status based on the Korean Health Panel
-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학회
- 저자명
- 임지혜(Ji Hye Lim)
- 간행물 정보
- 『보건과 사회과학』제34집, 237~2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문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어지는 ‘미충족 의료’는 현상 그 자체나 수치상의 결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사망률을 높일 수 있으며, 적절한 시기에 치료 받지 못하게 됨으로써 환자들의 질병 중증도를 높이고 합병증 발생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표성이 있는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미충족 의료 현황을 살펴보고,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9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충족 의료여부 조사에 응한 만성질환 보유자 7,371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의료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미충족 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미충족 의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 연령, 보험유형, 세대구성, 경제활동, 가구소득, 만성질환 수, CCI(Charlson cormorbidity index) 지수, 주관적 건강상태로 나타났다. 여성, 40세 미만, 의료급여, 1인 가구,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가구 소득이 낮은 경우, 만성질환의 개수가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 미충족 의료 확률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이는 여성과 단독가구를 위한 의료의 접근성이 좀 더 개선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저소득층에 대한 건강보험과 의료급여의 보장 수준을 높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의료보장제도의 평가와 보건의료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영문 초록
Delayed or nonreceipt of medical care may result in more serious illness for the patient, increased complications, a worse prognosis, and longer hospital stay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association factors of unmet medical needs. 7,371 adults with chronic disease who aged 18 and over were analyzed, based upon the data of the Korean health panel. we analyzed current states of unmet medical ne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ain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medical need.
In result,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medical need were gender, age, insurance type, household composition, economic activity, income, chronic disease count, CCI, subjective health status. Female, less than 40, one-person households, economic activity, lower income, chronic diseases, perceived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confirmed unmet medical need probability increa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essibility of medical care for female and one-person households will have to be improved. It also shows that level of medical security for low income group should be higher.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health care policy and assessme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토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건과 사회과학 제34집 목차
- 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 낙인 및 감염인 차별
-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활동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빈곤의 동태와 자살생각
- 중국 농촌의 자살 현상에 관한 의료인류학적 분석
- 대학신입생들의 성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주거환경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시군구 지역의 결핍수준과 기대여명의 변화, 2000-2011
-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한 만성질환자의 미충족 의료 현황 분석
-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시ㆍ군ㆍ구 단위 지역사회 심뇌혈관 질환 표준화 사망률과 관련 요인 분석
- Gender-specific Bullying Dynamics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ierarchical vs. Bilateral
- 자살예방과 생존자 치유를 위한 의료종교학적 접근의 전망과 과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