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4년 보험법 개정시 제외된 미개정사항의 재검토
이용수 52
- 영문명
- A Review of Non-amendment Issues Excluded from the Revision of the Insurance Law in 2014
- 발행기관
- 한국보험법학회
- 저자명
- 송호신(Song, Ho Shin)
- 간행물 정보
- 『보험법연구』제12권 제2호, 385~42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상법 보험편 개정안이 2008년 처음 제안될 때에 모두 45개 조문에 달하였다.
그러나 정작 2014년 상법 개정안이 국회에 상정될 때에는 24개 조문으로 줄었고, 실제로 입 법 개정된 사항은 그 가운데 23개 사항에 불과하였다. 그 이유는 상법 보험편의 개정 과정에서 보험계약의 관계자인 보험자 측과 보험계약자(보험소비자) 측의 이해관계의 대립과 견해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즉 2008년 1월 상법 보험편 개정안이 국회에 제출된 이후, 보험업실무계와 학계 및 시민 사회단체 등의 의견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안 마다 이해관계의 대립과 충돌이 야기되었다.
입법의 과정이 어언 6년여가 흐르면서, 관계 당국은 상법 보험편의 개정 입법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정책적 판단을 내리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08년 상법 개정안의 45개 사항 가운데 대립이 적고 입법이 원활한 24개 내용들만을 추려 2014년 상법 보험편 개정안에 구성하였다. 그 결과 21개 사항이 개정안에서 제외되었다.
당초 상법 보험편 개정안에는 보험의 선의성에 기초한 건전성 확보 및 보험자의 이익에 관련된 내용들이 많았다. 그러나 2014년 상법 보험편 개정에는 주로 보험계약자(혹은 보험 소비자)의 이익에 관한 사항들이 주로 입법되었다. 그 과정에서 보험건전성이나 보험자의 이익 및 보험계약자의 의무강화에 대한 규정들은 2014년 상법 보험편의 개정안에 포함되지 못하였다. 상법 보험편 개정에 있어서, 보험계약자와 보험계약상 약자 보호라는 사회적 요구를 무시 할 수는 없다. 그러나 보험제도의 기반을 흔들 수 있는 보험의 선의성 및 보험건전성의 확보의 문제 역시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2014년 상법 보험편의 개정안은 다소 편협하게 구성되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2014년의 상법 보험편 개정시에 제외되었던 여러 사항들에 대해 보다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특히 보험의 선의성과 보험건전성 그리고 보험자의 이익 및 보험계약자의 의무의 강화에 관련된 사항들을 재검토하여 입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mendment Bill to the Commercial Act(Insurance Law) reached 45 articles when it was first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n 2008. However, when the Revision Bill of the Commercial Law in 2014 was presented to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reduced to 24 articles.
In addition, the actual legislative amendments were only 23 item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nsurer and the policy contractor, who are involved in the insurance contract, have been in great conflict during the revision of the Commercial Law Insurance Contract Law.
Six years after the legislative process, the authorities have made a policy decision to urgently amend the Commercial Law. Among the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Act, only 24 contents with few conflicts and smooth legislation were selected. As a result, 21 items were excluded from the 2014 amendment.
The 2008 Amendment Bill to the Commercial Code contained a lot of contents about the health of the insurance system and the interests of the insurer based on the goodness of the insurance. However, amendments to the Commercial Law in 2014 mainly focused on the interests of policyholders and insurance consumers. In the process, regulations on insurance soundness, insurer s interests, and insurance contractor s obligations were not included in the 2014 Commercial Law Amendment.
In the amendment of the commercial law, the social demands of policyholders and the protection of the weak can not be ignored.
However, the issue of insurance goodness and insurance soundness, which can shake the foundation of the insurance system, is also a very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revision bill of the Commercial Law Insurance Act of 2014 will be criticized as being somewhat narrow-minded.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issues that were excluded from the 2014 amendment of the Commercial Code. In particular, it shall review matters relating to the health of insurance system, and the enhancement of the interests of the insurer and the obligations of the policyholder. So it should be done so that it can be reflected in legislation.
목차
Ⅰ. 서론
Ⅱ. 2014년 보험법 개정시 제외된 사항의 미개정 경위
Ⅲ. 보험건전성과 보험자 이익에 관련된 미개정 사항
Ⅳ. 보험계약자의 권리의무와 약자보호에 관련된 미개정 사항
Ⅴ. 각종 준용규정과 그 밖의 미개정 사항
Ⅵ. 결론
키워드
보험법
2014년 상법개정안
보험의 건전성
보험의 선의성
보험자의 이익
보험계 약자의 권리의무
보험계약상의 약자보호
최대선의의 계약
미개정 사항
Insurance Law
Amendment BIll of commercial law in 2014
Health of Insurance System
Goodness of Insurance
Interest of Insurer
the rights and obligation of policyholder
Protection of the Weak under Insurance Contract
the Contract of Uberrima Fides
Not Amended Content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의동승자에 대한 운행자 및 보험자의 배상책임 제한
- 보험금청구권 압류 등과 보험관계자의 이해 조정 가능성
- 금융계약의 경개와 중장기성 수출보험의 법률관계
- 환경오염피해구제법상 환경책임보험의 법적 쟁점
- 스테로이드제 약물 부작용에 대한 법적 고찰
- 보험업권에 있어서 공적자금관리와 법적 쟁점에 대한 연구
- 질병과 상해사망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만기형 즉시연금보험의 연금액 계산에서 만기보험금 충당액의 차감에 관한 보험자의 설명의무
- 변호사배상책임보험의 완전한의무화를 위한 입법방안
- 핀테크의 진전과 예금보험제도의 과제
- 일본의 생명보험계약자보호기구
- 새로운 접근 방법을 통한 보험사기의 효과적인 방어체제 구축 방안
- 2014년 보험법 개정시 제외된 미개정사항의 재검토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더보기법학 > 법학분야 NEW
- 계간 저작권 150호(38권 2호) 목차
- K-팝 안무의 저작권 보호와 법적 과제 - 창작성, 계약 구조, 권리자-이용자 관계를 중심으로
- 의거 요건 탐구 Ⅰ: 의거의 개념과 구성원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