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영어 과정중심평가의 실행모형 연구
이용수 803
- 영문명
- Investigating a working model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of primary English
- 발행기관
-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심규남(Shim KyuNam)
- 간행물 정보
- 『초등영어교육』제24권 4호, 119~14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set up a working model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system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and also to investigate how primary school teachers of English generally perceive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 school and the model suggested in the study. Taking into account the teaching and assessment context of primary English teaching and the mainstream theories on language assessment, which are relevant to classroom-based assessment, a working model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was presented.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first of all, a general perception on process-oriented assessment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analyzing 575 worksheets written by teachers who took the coursework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s a part of the in-service program for primary teachers conducted in the summer of 2018. After that, the teachers’ working principles and assessment practice were surveyed, and their thoughts, and opinions were analyzed from a total of 30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acher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working model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can operate properly considering their teaching experience and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primary schools. The details of the model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is, the revised model was presented. However, there are still a number of issues which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integration of teaching and assessment, balance of assessment methods, frequency of assessment, and system of reporting. Some particular areas and issues needing further investigation were identified in the last part of the study.
목차
Abstract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분석 및 논의
V.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Effect of Cognitive Load of a Task on Interaction and Speaking with Primary English Learners
- 초등영어 지도서의 교사 발화 분석
-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내용체계표 분석
- 퍼실리테이션(Facilitation) 토의 기법 활용 초등영어말하기 수업의 적용 효과
- 초등학교 영어 읽기 부진 집단의 판별요인 분석
- 예비교사의 국외연수 실습에서 영어사용경험에 대한탐구
- The Effects of Consciousness-raising Tasks on Young Learners’ L2 Grammar Learning
- 초등영어 과정중심평가의 실행모형 연구
- Effects of Using Acrostic Poe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Composition
- 초등 예비교사의 영어수업분석에 대한 교육적 안목 연구
- 어휘 의미통사부(lemma)의 전이현상과 영어어휘교육에 대한 시사점
- 초등 영어교실에서의 역할극 활용이 영어듣기와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교대생들의 수업 비평문에 나타난 개념적 은유와감식어휘 사용에 관한 코퍼스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