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40
- 영문명
-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with Policy Trust on the Life Satisfaction : Group Comparison of Disability Typ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최윤정(Choi Youn Jeong)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2권 제3호, 145~1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관계가 장애유형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2017년 실시한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웨이브 2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응답자 중 신체외부장애인 2,378명과 정신적장애인 571명의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매개효과 검증 및 집단 간 차이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장애수용은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둘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모두 장애수용과 정책신뢰도가 삶의 만족 예측요인이었다. 셋째, 신체외부장애인과 정신적장애인 두 집단 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삶의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sability acceptance mediated with policy trus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group difference of disability type. For this purpose, the raw data(2nd wave, 2st survey) of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for the Disabled were used. Among the respondents, the data of 2,378 of the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571 of mental disabled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 of mediation and group difference.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isability acceptance of the disabled peopl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by policy trust, and this was verified with partial mediated model. Second, In both groups, the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metal health disabled, disability acceptance and policy trust were the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in path coefficients between the two groups of external physical disabled and mental disabled was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ction plans were discussed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의 가족’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제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 일자리 추이
- 장애수용이 정책신뢰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적합, 직무만족, 직무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 치료적 노래부르기를 통한 두경부암 환자의 말산출 기능 향상 사례
- 청각증강 기술 개발을 위한 청각장애인의 욕구조사
- Systematic Review of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Among Children and Youth with Disabilities
- 그룹홈 중고령 발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장애인복지관 문화예술교육 담당자가 인식하는 관리자의 리더십이 직무태도 및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 연구: 체계적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