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학적 전환, 비판적 언어학 전통, 그리고 비판적 담론연구의 출현
이용수 1,287
- 영문명
- Linguistic Turn, Critical Linguistics, and Critical Discourse Studies as Research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신동일(Dong il Shin)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4권 제3호, 1~4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9.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의식이 보태진 담론연구방법의 출현 배경과 지적 토대를 탐색하고 질적연구 분야에 어떻게 기여하고 어떤 한계점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비판적 담론연구를 위해 실증적 자료를 기획하고 수집하고 분석하는 연구방법 역시 학자군마다 다소 차이가 크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알튀세(Althusser)의 이데올로기, 그람시(Gramsci)의 헤게모니. 푸코(Foucault)의 권력/담론/지식, 홀(Hall)의 문화연구로부터 구축된 구조주의와 언어학적 전환(linguistic turn)의 지식전통과 바흐친(Bakhtin), 폐슈(Pêcheux), 할러데이(Halliday)를 포함한 비판적 언어학(critical linguistics) 연구전통으로부터 페어클러프(Fairclough)의 담론연구 모형이 어떻게 출현할 수 있었는지 우선적으로 탐색하기로 한다. 페어클러프의 모형은 할러데이의 체계기능문법(systemic functional grammar)으로부터 차용된 텍스트 분석방법, 바흐친의 얽힌 텍스트의 해석, 사회구조 분석에 용이한 푸코의 고고학/계보학 이론, 그람시의 헤게모니적 투쟁논점을 모두 결합시키면서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분석의 상호 간 단점을 보완했다. 본 연구는 비판적 담론분석의 연구방법적 의미와 함께 한계점 역시 부연하고 추후 연구자들이 숙지해야 할 점을 정리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resources to understand how CDS (Critical Discourse Studies) has been emerged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this review of literatur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will first be discussed on the tradition of linguistic turn and structuralistic movement, including Althusser’s ideology, Foucault’s power and discourse, Gramsci’s hegemony, Hall’s cultural study, as well as the tradition of critical linguistics including Halliday’s systematic functional grammar, and Bakhtin’s intertextuality. CDS clearly intends to incorporate social theories into discourse analysis and advocates social commitment and interventionism in researches. The main features and domains of CD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with emphasis on the theory formation (how texts and discourses work in ideological interests with powerful political consequences) by one of CDS’s most prominent scholars, Norman Fairclough. Th e strength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e Fairclough’s model-based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the article make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of CDS methodological develop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담론연구의 이론적 토대
Ⅲ. 비판적 담론연구방법의 이해: 페어클러프 모형을 중심으로
Ⅳ. 비판적 담론연구의 한계점과 학술적 쟁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 남성 상담자의 기업상담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일터에서 배움을 추구하는 정보통신기술 전문가의 현장 강사로 거듭나기
- Moments of Musical Connec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Nordoff -Robbins Music Th erapy
- 한국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성공 이후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중년여성의 불면증 경험에 대한 생애사연구
- 산간벽지(山間僻地) 소재 교회의 딜레마에 대한 질적연구
- 중간아이로서 음악치료사 발달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언어학적 전환, 비판적 언어학 전통, 그리고 비판적 담론연구의 출현
- 50대 중년남성의 우울경험에 대한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