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제적 소외계층의 영재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337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신동(Lee, Shin-Dong) 엄윤재(Eum, Yoon-Jae)
- 간행물 정보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홀리스틱교육연구 제22권 제2호, 29~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제적 소외계층 영재, 영재의 부모 및 교사, 영재교육 관련 정책을 주제로 국내 선행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4년부터 2018년 2월 까지 발표된 학술지 총36편의 연구논문을 선정하였다. 범주별 연구동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도별 연구출처, 연구연도, 연구유형, 연구주제, 연구대상 및 영재가정 특성, 연구장소를 분석하고, 연구방법 별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로 분류하고 논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별 연구동향 분석결과,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인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연구된 논문은 총 18편으로 선정된 논문의 50%를 차지했다. 연구대상자의 대부분은 영재아동과 교사였으며, 부모가 포함된 연구는 2편뿐이었다. 영재아동과 교사 관련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반면, 경제적 소외계층 영재 부모에 관한 연구는 많이 부족했다. 연구방법별 연구동향 분석결과, 문헌연구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했으며, 선정된 논문 중 44%를 차지했다. 특히 문헌고찰 및 제언에 관한 논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국내 경제적 소외계층 영재와 관련된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pre-researches of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child, parents and teachers of the gifted and policies for the gifted child and tries to fi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es. The research from 2004 to 2017 were analyzed to find the research trend, analyz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method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fter analyzing annual academic journal,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 research target, research location and research feature. As the result of study by category, there are 18 researches from 2013 to 2017 in the period of the gifted education develop plan and they takes 50% of the objective researches. Only 2 researches were from the gifted child, the teacher and parents but the others were for the gifted child and teachers. While the research of the gifted child and the teacher were far carried but the research of the parents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were insufficient. As the result of study by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was mainly used took 44% of the objective researches. Especially,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proposal researches were mainly used. With the result of study, it was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about the national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년 재혼 여성의 ‘다시 살아내는 결혼 이야기’
- 가부장제 사회에서 내면화한 여성 역할에 대한 중년 여성의 극복 경험: 자문화기술지
- 군 전역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의 하이브리드 남성성 형성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또래 여성 주체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