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자유주의 시대의 교차성 분석
이용수 1,100
- 영문명
- Doing Intersectional Analysis in the Era of Neo-Liberalism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 저자명
- 박종주(Jongju Park)
- 간행물 정보
- 『여성학논집』제35집 1호, 163~1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여성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킴벌리 크렌쇼가 제안한 교차성 개념이 최근 국내에서도 널리 회자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국내 학계에 정식으로 소개되었다고 하기 어려운 수준에서 유통되고 있으며, 따라서 그 동시대적 의의에 대한 검증 또한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이글은 1)킴벌리 크렌쇼의 교차성 개념을 소개하고, 2)신자유주의 시대라는 현재의 상황 내에서 교차성 분석이 갖는 함의를 밝힌다. 교차성이란 차별들의 더하기로는 설명되지 않는, 특정 정체성들의 중첩점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차별과 억압이 있음을 밝히는 개념으로, 구조의 어떤 역동이 특정 정체성들을 취약하게 만드는지 살필 것을 요구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이 제안된 1980년대 후반과 마찬가지로 우리는 지금 신자유주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데, 이것의 핵심은 정체성들의, 그리고 운동들의 분할을 통한 통치이다. 교차성 분석은 신자유주의에 의해 무관한 것으로 표상되는 여러 정체성들, 권력 축들이 실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을 드러내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함으로써 계급운동과 정체성운동 등으로 갈라진 사회 운동들을 재통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자유주의에 저항하는 운동에 필수적인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교차성 개념은 근본모순을 설정하고 다른 모순을 그것에 부차적인 것으로 설정하는 대신 중층적으로 결정되는 모순의 현재 모습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해줌으로써 ‘지금 여기’에서의 투쟁을 가능하게 한다.
영문 초록
The intersectionality, term coined by Kimberlé Crenshaw in 1989, is becoming the talk of the scene these days. While many contemporary feminists, so called net-feminists or young-young feminists, identify themselves as
intersectional feminist, this term is yet to be introduced academically to South Korea, however. And thus its contemporary significance is yet to be validated.
Being aware of this problem, this article aims at 1)introducing Crenshaw’s term intersectionality and 2)clarifying implications of doing intersectional analysis in this era of neo-liberalism. The term is meant to indicate that there is more than just sum of discriminations, which uniquely take place at overlapping points of
certain identities. The term demands us to see what dynamics of the system make certain identities vulnerable. This would in some sense update so called identity politics in which an integrated and non-exclusionary approach to each
identity is possible. (But we should notice that this renewal of identity politics is not to lean on essentialized identities. Crenshaw emphasized to focus on the structure under which some identities are made prone to discrimination.) Like the time the term was suggested, it’s a neo-liberal age now and its key strategy is to
divide and rule identities and movements as Lisa Duggan suggests. Doing intersectional analysis, we can disclose that many axis of powers which are presented as if unconnected by the neo-liberal system are actually deeply
interconnected and thus we can reunite social progressive movement which are divided into Class politics, identity politics and so on. Finally, making us able to see the present state of contradictions, instead of setting one fundamental and setting others aside, intersectional analysis provides the foundations a total struggle of ‘now and here’ possibl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킴벌리 크렌쇼의 교차성 개념
Ⅲ. 신자유주의에의 저항과 교차성 분석
Ⅳ. 한국사회의 경우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여성학분야 NEW
- 여성연구 통권 제124호 목차
- [기획논문] 보이지 않는 감옥: 기술 매개 강압적 통제와 스토킹
- 여성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조직요인에 관한 다층모형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