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실행기능에 대한 아버지 양육과 유전자(DRD2)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연구
이용수 217
- 영문명
- Effect of Father’s Parenting Efficacy and DRD2 on Preschoolers’ Executive Fun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Kim, Minjeong) 이미나(Lee, Mina) 정미라(Jung, Mir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13호, 365~3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7.27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대한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유전자(DRD2)의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 83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전자는 구강 점막에서 채취하였으며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DRD2 유전자는 유아의 작동기억에 직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DRD2유전자와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2) 유아의 인지적 융통성에 대한 영향력은 아버지 양육효능 감에서만 나타났으며, 아버지 양육효능감과 DRD2 유전자와의 상호작용효과도 유의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실행기능 중 인지적 융통성이 일상적으로 행해지는 부모의 양육에 의해 증진될 수 있으며 이때 유아가 보유한 유전자에 따라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RD2 gene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on child’s executive function. This research analyzed the dir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child’s gene(DRD2)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ir executive function. The study subjects were 83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do area and their fathers. A survey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children’s fathers. DRD2 genotyping assays were performed with children’s mucosa samp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1) only DRD2 gene had a direct influence on child’s working memory, (2) DRD2 gene and father’s parenting efficacy a direct and interaction effect on child’s cognitive flexibility. Genetic influence were varied child’s executive function tasks. High order cognitive skill such as cognitive flexibility can be improved by parenting, especially by broadly involving child’s everyday life. Discussions include suggestions to prosper high order cognitive function through father’s parent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과정 글쓰기 교재 개발 및 효과 검증
-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동기강화 모델을 적용한 복습 프로그램 실행연구
- 대학 댄스스포츠 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신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관리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 동영상 학습에서의 대학생 동공 반응 분석
- 원격협력학습을 위한 초등 영어교과서 문화내용과 학생요구 분석
- 유아의 실행기능에 대한 아버지 양육과 유전자(DRD2)의 상호작용 효과 분석 연구
- 학생 중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대학 생활 만족도 제고
- 초등사회과 인권수업 사례 연구
- 어린이집교사가 인식하는 멘토링의 의미
- 우리나라와 핀란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통해 본 구체물과 추상적 개념의 도입 방식
- Classroom Practices Under the Teaching English in English (TEE) Policy
-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관련변인의 구조적 관계
- John Dewey 학습관에 따른 “학습사회”의 개념 탐색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비교과교육과정 및 비교과졸업인증 인식에 대한 혼합연구
- 읽기성취 수준별 어휘능력과 읽기이해력 간의 관계 분석
- 미술관 서포터즈 활동이 미술인식의 변화와 자기계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초등 3~4학년용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다문화가정 학생선수의 체조부 활동 경험과 의미
- 대학 글쓰기 저학년 학습자를 위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수업 사례 연구
-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가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나누기 활동 자리배치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특성 분석
- 중ㆍ장년 실직자의 정서적 안정감과 구직강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관련 유아교육 연구의 동향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